엇갈린 1분기 글로벌 증시 성적표…美 증시 울고 유럽· 홍콩은 웃고

입력 2025-03-30 14: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S&P500, 5% 이상 하락…2022년 이후 최악
골드만삭스 등 S&P500 연말 전망치 줄하향
트럼프 관세 위협에도 유럽·중국 증시 선방
항셍지수, 딥시크 열풍에 힘입어 17%↑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28일(현지시간) 트레이더들이 작업하고 있다. 뉴욕/AFP연합뉴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28일(현지시간) 트레이더들이 작업하고 있다. 뉴욕/AFP연합뉴스
올해 1분기 주요국 증시의 희비가 엇갈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격변하는 무역·안보 지형의 변화 속에서 미국과 일본 증시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유럽과 중화권 증시는 선방하는 등 작년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

2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뉴욕증시 벤치마크 S&P500지수는 1분기 5.11% 하락했다. 이는 2023년 3분기 이후 첫 분기 하락이자 2022년 9월 이후 최악의 분기를 기록한 것이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분기에 10.29%나 내렸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 속 경기침체) 우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 조절 전망이 미국증시를 뒤흔들었다. 관세 위협이 계속되면서 월가의 기대치도 하향조정되고 있다. UBS 애널리스트들은 전날 S&P500지수의 연말 전망치를 6600에서 6400으로 낮춰잡았다. 바클레이스와 골드만삭스도 최근 S&P500의 연말 전망치를 기존 6600에서 5900으로, 6500에서 6200으로 각각 하향 조정했다.

문제는 그동안 뉴욕증시에 장기간 ‘황소장(강세장)’이 이어지면서 전 세계 뭉칫돈들이 몰렸다는 사실이다. 이 때문에 미국 금융시장의 침체가 세계적 혼란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보유 비중은 2000년대 초만 해도 7%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거의 20%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외교협회(CFR)의 브래드 세서 선임연구원은 “미국 금융시장에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집중이 일어나고 있다”며 “투자자들은 점점 더 큰 위험을 감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증시가 1분기 부진의 늪에 빠진 반면 유럽과 홍콩증시는 강세를 유지했다.
▲미국증시가 1분기 부진의 늪에 빠진 반면 유럽과 홍콩증시는 강세를 유지했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으로 성장세 둔화가 예상됐던 유럽과 중화권 증시는 되레 선방하고 있다. 범유럽 증시 벤치마크인 스톡스유럽600지수는 1분기 6.79% 올랐다. 독일증시 DAX지수가 12.82% 뛰면서 회복장을 주도했다.

독일 정치권이 천문학적인 규모의 인프라 및 국방 특별예산을 추진하면서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들에 국방비 증액을 요구하면서 유럽 안보에서 손을 떼겠다고 한 것도 유럽 방산 기업 주가를 밀어 올리는 요인이 됐다.

중국과 홍콩증시도 중국 당국의 경기 부양 노력과 저비용·고효율 인공지능(AI)의 가능성을 보여준 ‘딥시크’ 열풍에 힘을 받았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01% 내리면서 보합권에 머물렀지만, 중국 본토 주요 기술기업이 상장한 홍콩증시 항셍지수는 16.78% 급등했다.

반면 미국과 돈독한 외교 관계를 이어온 일본과 대만증시는 하락했다. 일본증시는 엔화 환율 불확실성, 일본은행(BOJ)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등이 투자심리를 짓눌렀다. 앞서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19일 “경제 물가 전망이 실현되면 그에 따라 계속해서 금리를 끌어올릴 것”이라며 추가 인상 의지를 드러냈다. 이에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올 들어 6.95% 하락했다.

대만증시 가권지수도 6.22% 빠졌다. 미국 정부의 관세 위협과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 미국이 중국의 대만 침공 등 유사시 적극적으로 지원할지에 대한 불확실성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韓대행, 상법개정안에 거부권 행사..."주주 보호 역행·국가경제 부정적"
  • 4월 물가상승 죽음의 달...버거마저 올라 서민 한끼 ‘난감’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오늘은 4월 1일 만우절, 유래는?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747,000
    • +1.52%
    • 이더리움
    • 2,767,000
    • +3.17%
    • 비트코인 캐시
    • 459,400
    • +3.7%
    • 리플
    • 3,124
    • +1%
    • 솔라나
    • 187,800
    • +0.27%
    • 에이다
    • 1,002
    • +3.09%
    • 이오스
    • 1,029
    • +17.6%
    • 트론
    • 350
    • +0.86%
    • 스텔라루멘
    • 397
    • +1.0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240
    • +2.64%
    • 체인링크
    • 20,420
    • +3.34%
    • 샌드박스
    • 410
    • +2.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