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340조 돌파 코앞..올들어 28조 증가

입력 2009-08-30 12: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규 대출금리 어느덧 6%.."주택담보대출자 허리 휜다"

주택담보대출이 8월에도 4조원 가량 늘어나면서 대출 잔액이 34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또 지난 1~8월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28조원 가량이 증가해 사상 최대 증가액을 기록할 전망이다.

이 같은 분위기 속 신규 대출자 기준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6%를 넘어선 것으로 확인, 주택담보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갈수록 가중되고 있다.

30일 금융감독당국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24일 기준으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지난달 말에 비해 2조2000억원 정도가 늘었다"며 "통상 월말에 아파트 집단대출이 몰린다는 점을 감안하면 월간 순증 규모가 3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비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역시 지난달과 비슷한 추세를 보이며 8000억원 안팎의 증가세를 기록했을 것이라는 게 현재까지 대체적인 판단인 만큼, 8월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사실상 4조원 안팎에 이를 것"이라고 추정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은행권과 비은행권을 합한 8월 주택담보대출 순증액은 8월에만 4조원 가량으로 추산되는 상황이나 지난 7월의 4조5000억원보다는 다소 줄어든 것 같다"고 예상했다.

지난 7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순증 잔액은 3조7000억원, 비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순증 잔액은 8000억원이었다. 이로써 금융권 전체 주택담보대출 증가 규모는 4조5000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이 경우, 금융권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지난 7월말 337조2000억원에서 8월말 341조원 가량으로 불어나게 된다. 순증 규모로는 사상 최대 수준인 28조원에 육박하는 수치다.

한국은행 금융통계 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월별 금융권(비은행포함) 주택담보대출 순증 규모는 ▲1월 1조5000억원 ▲2월 3조1000억원 ▲3월 3조4000억원 ▲4월 3조4000억원 ▲5월 3조5000억원 ▲6월 4조5000억원 ▲7월 4조5000억원을 기록해왔다.

한편, 주택담보대출이 이처럼 꾸준히 상승하는 상황 속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잇따라 상승함에 따라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점차 커지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바로미터인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가 최근 가파른 오름세를 타면서 일부 은행들의 신규 대출 금리가 6%를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농협은 오는 31일부터 내달 4일까지 신규 주택담보대출자에게 적용 예정인 금리는 지난주보다 0.07%포인트 오른 연 5.45~6.45%로 정해졌다. 내주 국민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시 금리도 연 4.53%에서 최고 6.13%로 확인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기 무역전쟁 시작됐다...“삼성 등 압박·미국도 다친다”
  • "이 감성 못 잃어"…젠지 선택받은 브랜드들의 정체 [솔드아웃]
  • '나솔사계' 미스터 박, 환승이별 의혹 부인…"여자친구 잘못 없어, 나만 조롱해"
  • 카나나 공개 앞둔 카카오, AI 늦깎이 꼬리표 뗄까
  • 트럼프 열기 식어…1월 국내 가상자산 거래대금 30%↓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연 1조 ‘테이블오더’ 시장 출사표
  • SK하이닉스 시총 16조 증발…딥시크 충격 언제까지
  • 커지는 딥시크發 ‘엔비디아’ 회의론…韓 AI 팹리스에도 기회 열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1.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5,219,000
    • -0.89%
    • 이더리움
    • 4,846,000
    • -2.71%
    • 비트코인 캐시
    • 622,000
    • -4.38%
    • 리플
    • 4,473
    • -2.23%
    • 솔라나
    • 330,600
    • -5.33%
    • 에이다
    • 1,386
    • -2.67%
    • 이오스
    • 1,128
    • -7.01%
    • 트론
    • 377
    • -3.08%
    • 스텔라루멘
    • 603
    • -3.8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700
    • -4.14%
    • 체인링크
    • 35,360
    • -7.17%
    • 샌드박스
    • 740
    • -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