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생산 9개월만에 증가세 전환(종합)

입력 2009-08-31 14: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조업가동률도 금융위기 전 회복..."경기 바닥쳤다"

7월 광공업 생산이 전년동월대비 0.7% 증가해 9개월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 7월 광공업생산은 기계장비와 1차금속 등이 부진했으나 반도체 및 부품, 자동차 등의 호조로 0.7&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이후 9개월만에 증가세로 전환된 것이다.

전월대비로는 반도체 및 부품, 자동차, 1차금속 등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2.0% 증가해 7개월 연속 증가 추세를 이어갔다.

전월대비 광공업 생산 증감률은 작년 12월 -9.6%에서 올해 1월 1.7%로 플러스로 전환한 이후 플러스 행진을 지속했다.

윤명준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광공업생산이 전년동월대비 증가세로 돌아선 것과 관련 "반도체 쪽 경기가 살아나고 있고, 자동차의 경우 지난해 파업이 있었던데 따른 상대적 반등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도 78.%로 올 2월(66.9%)부터 6개월 연속 상승해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반영됐던 지난해 10월(77.3%) 수준을 상회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등에서 예산조기집행 영향 축소 등으로 전월대비 0.8% 감소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부동산업 및 임대업, 금융 및 보험업 등에서 0.8% 증가해 4개월 연속 증가했다.

소비재 판매는 자동차 세제지원 축소로 내구재가 크게 줄어 전월대비 1.6% 감소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의복 등 준내구재에서 감소하였으나, 차량연료 등 비내구재의 호조로 1.9% 증가해 3개월 연속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및 운송장비가 모두 줄어 전월대비 11.6% 감소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반도체장비 등 특수산업용기계에 대한 투자가 줄어 18.2% 감소했다.

건설수주도 공공부문의 토목공사 발주증가로 전년동월대비 2.9% 증가했다.

(통계청)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제조업가동률지수, 광공업생산지수, 내수출하지수 등이 증가해 전월대비 0.9포인트 상승했으며,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도 기계수주액, 소비자기대지수, 재고순환지표 등의 증가로 전월대비 2.1% 포인트 상승해 7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윤 과장은 경기동행지수가 5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과 관련 "이는 강한 경기회복세가 유지되고 있음을 뜻한다"면서 "통상 2분기 이상 '플러스'가 유지될 경우 하나의 경기 국면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경기가 '바닥을 쳤다'고 봐도 큰 문제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기 무역전쟁 시작됐다...“삼성 등 압박·미국도 다친다”
  • "이 감성 못 잃어"…젠지 선택받은 브랜드들의 정체 [솔드아웃]
  • '나솔사계' 미스터 박, 환승이별 의혹 부인…"여자친구 잘못 없어, 나만 조롱해"
  • 카나나 공개 앞둔 카카오, AI 늦깎이 꼬리표 뗄까
  • 트럼프 열기 식어…1월 국내 가상자산 거래대금 30%↓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연 1조 ‘테이블오더’ 시장 출사표
  • SK하이닉스 시총 16조 증발…딥시크 충격 언제까지
  • 커지는 딥시크發 ‘엔비디아’ 회의론…韓 AI 팹리스에도 기회 열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1.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4,116,000
    • -1.92%
    • 이더리움
    • 4,797,000
    • -4.35%
    • 비트코인 캐시
    • 613,500
    • -5.69%
    • 리플
    • 4,321
    • -6.29%
    • 솔라나
    • 328,300
    • -6.55%
    • 에이다
    • 1,352
    • -5.78%
    • 이오스
    • 1,106
    • -10.52%
    • 트론
    • 373
    • -4.85%
    • 스텔라루멘
    • 589
    • -6.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0,550
    • -6.56%
    • 체인링크
    • 34,460
    • -9.46%
    • 샌드박스
    • 725
    • -9.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