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ㆍ달러 환율이 10% 하락하면 연간기준 수출입차는 50억 달러, 경상수지는 70억 달러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환율 하락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10% 상승(환율 10% 하락)할 경우 순수출이 연간 약 50억 달러 줄어드는 것으로 계산됐다.
또 경상수지는 70억 달러 줄어들고 연간 국내총생산 증가율(경제 성장률)도 0.4%포인트 가량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수출가격이 올라가고 수입가격이 떨어져 국민들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할 수 있는 실질소득이 증가하는 ‘소득효과’가 있지만, 순수출(수출-수입)이 감소하는 효과가 더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제에 대한 환율의 파급 효과는 외환위기 이전과 비교하면 점차 약해지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환율 하락의 주요 부작용으로 꼽히는 기업 채산성 악화의 경우 실제로 따져보면 상관관계가 명확하지 않았다.
환율 하락기의 제조업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1999~2000년 1.29%포인트, 2002~2007년 0.36%포인트 오른 반면 환율이 상승한 2001년에는 1.88%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환율이 달러당 1000원 밑으로 내려간 2006~2007년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환율이 1000~1250원 사이에 머무르던 때와 비교해 1.2%포인트 가량 하락해 환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채산성을 크게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율이 떨어지면 무조건 우리 기업들에게 악재가 된다는 기존의 통념과 업계 일각의 주장이 사실과 다를 수 있다는 뜻이다.
아울러 환율이 하락하면 물가상승을 억제해 소비자에게는 득이 된다. 대외채무 상환 부담도 줄고, 급격한 환율 하락을 방지하는 데 쓰이는 비용도 아낄 수 있어 긍정적이다.
한은은 환율이 10% 하락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5%포인트 내려가는 것으로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