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가 서비스 R&D(연구·개발) 지원 예산을 작년 570억원에서 오는 2012년까지 1200억원 규모로 확대해 향후 3년간 총 3000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또한 국내에는 아직 생소한 서비스 R&D 개념을 정립하는 한편 기존 제품R&D 지원체계와는 다른 서비스 R&D 지원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지경부는 3일 제7차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뼈대로 한 범부처 차원의 '서비스 R&D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권오정 지경부 지식서비스과장은 "이번 방안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경험과 감(感)에 의존해온 서비스 혁신을 과학적·체계적인 방법을 적용한 서비스 혁신으로 전환하기 위한 첫 시도"라고 설명했다.
이번 방안에 따르면 우선 기존의 장비·제품개발 중심에서 인문·사회과학 측면에서의 R&D, 제조업 등 타산업과의 융합으로 서비스 R&D의 개념을 확대시켰다.
기존의 제품 R&D가 요소기술 개발을 통해 '제품혁신', '공정혁신'을 도모하는 반면 서비스 R&D는 기술혁신 외에 인문·사회과학 연구 등을 통해 '신서비스 개발', '서비스 전달체계 혁신'을 도모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센서 기술, 시뮬레이션 구현 기술 등을 골프와 접목해 개발된 새로운 서비스 상품인 스크린 골프 등이다.
또 서비스 R&D 대상에 서비스 산업 내에서의 혁신뿐만 아니라 서비스와 제조업 등 산업간 융합 혁신도 포함했으며 비즈니스 모델 혁신, 인문·사회과학 측면에서의 연구개발 등도 대상에 포함했다.
이와 함께 올해부터 2012년까지 3년간 총 3000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또 서비스의 특성상 개발연구에 대한 정부 역할의 한계가 존재하므로, 정부는 기초·응용 연구에 투자 비중 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고용 창출 및 제조업과의 동반 성장 가능성을 고려, '신성장동력 고부가 서비스업'과 '사업서비스업' 관련 분야에 중점 투자할 계획이다.
아울러 관광·콘텐츠·교육·의료·공공서비스 등 분야별로 신서비스 개발 및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R&D 전용 사업도 신설, 추진키로 했다.
또 과제 발굴 시 기술적인 전문성보다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중요한 서비스 R&D의 특성을 반영해 고객 아이디어 공모제를 실시하고 서비스를 실험하기 위한 '서비스 실험실'도 구축할 계획이다.
권 과장은 "연구개발비용 세액공제 대상자의 연구업무 분야를 현행 과학기술분야에서 서비스산업분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