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틈만 나면 정부 개입...관련기업 경쟁력 상실 우려
- MB정부 '기업 프렌들리'서 '親서민'으로 선회 조짐
![](https://img.etoday.co.kr/pto_db/2010/04/20100412072513_dhkim_1.jpg)
글로벌 경제위기로 한국경제가 흔들리면서 집권 초기 정부가 자주 외쳤던 단어들이 어느덧 기억 속에서 희미해지고 있다.
특히 기업활동을 방해하는 걸림돌을 적극적으로 걷어내면서 개혁의 상징으로 숱하게 인용되던 '전봇대'란 단어는 슬그모니 그 자취를 감춰버렸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0/04/20100412072157_gubugi_1.gif)
특히 서민생활에 영향이 큰 통신비, 기름, 사교육, 분유값, 아파트값을 '5대적'으로 간주해 가격을 끌어내리기 위해 관련기업들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는 모습이다.
더욱이 이들 기업에게 더 강한 압박을 가하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와 국세청 등이 나섰으며 일부 기업들은 수백에서 수천억원의 과징금을 받기도 했다.
서민을 위한 정책이 나쁠 수는 없다. 그러나 정부가 서민들의 고통을 다 해결해 줄 것처럼 얘기하고 행동하는 건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재계 관계자는 "이는 정부의 민간영역에 대한 과도한 개입을 불러오고 자칫 민간영역의 존립기반 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정부의 서민정책과 관련된 기업들은 불안감과 함께 불만이 이만저만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사례가 '통신요금 인하' 문제다. '통신요금 인하'는 '시장경쟁 촉진을 통해 점진적 인하를 유도한다'는 큰 틀에 사회적 합의가 돼 있었다. 이에 민간영역에서 시장경제에 의한 점진적인 인하에 동의하는 한편 결합상품 등을 통해 요금을 꾸준히 내리는 등 순조로운 과정을 거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태도를 바꿔 큰 폭의 요금인하를 통신업체들에 요구했고 이번에 기어코 현실화 시킨 것이다.
이는 기업들의 활동 의욕을 꺾을 수 있는 것이다. 열심히 기업 활동하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데 갑자기 제3자가 나타나 판을 휘저어버린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마이너스로 되돌아온다는 것이다. 기름값 인하, 부동산 규제 완화, 사교육 규제 등도 마찬가지다.
재계 한 관계자는 "정부는 이 모든 것이 서민생활 안정을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정착 매출이 줄어들면 결국 기업들은 투자계획에 차질을 빚게 될 수 밖에 없다"면서 "정부의 과도한 시장개입은 결국 시장경제 시스템을 붕괴시키고 경쟁력을 약화시켜 그 피해가 소비자에게 고스란히 돌아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더 나은 성과를 위해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승훈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는 것보다는 시장에서 물러날 때 오히려 더 나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면서 "시장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정부의 부당한 개입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