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공공시설물에 입체형 설계와 생애주기를 반영하는 고품질의 건축기법(BIM)이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조달청은 공공시설 분야에 BIM적용을 확산시키기 위해 우선 올해부터 토탈 서비스를 건축공사에 시범 적용하고 장기적으로 총사업비검토등 전 분야로 확산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BIM은 건축설계를 2D에서 3D로 한차원 격상시키고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술로 건축공사의 품질향상에 기여된다.
공공 시설공사에 BIM이 도입되는 경우 설계과정에서부터 각종 시뮬레이션을 통해 잘못된 설계를 수정할 수 있고 설계 변경요인이 줄어들어 공기가 단축되고 비용절감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조달청은 건축물 전 생애주기 동안의 에너지 소모량, 설비의 교환시기 등 각 종 정보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BI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공공 분야의 BIM 활성화가 요구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국, 핀란드, 싱가폴 등 선진국은 공공발주에 BIM적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관련지침을 제정·운영해 공공시설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조달청은 올해 1~2건의 대형공사에 BIM을 시범적용하고 내년에는 3~4건으로 확대한 뒤 2012년부터는 토탈 서비스 대상 500억원 이상인 턴키·설계공모 건축공사에 BIM적용을 의무화할 방침이다.
또한 3D모델의 작성기준, 납품기준등 세부적인 발주지침을 마련해 공공기관에 베스트 프랙티스를 제공하고 설계사 및 건설사의 BIM 초기 도입에 따른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기준을 정비할 계획이다.
아울러 장기적으로 모든 건축공사에 BIM을 적용하고 다른 시설조달 분야로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천 룡 시설사업국장은 "조달청은 건축·기계 등 전문가로 BIM발주를 전담할 팀을 구성헤 실무적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며 "연구용역을 통해 BIM발주지침을 조기에 마련하는 등 BIM이 국내에 정착될 수 있는 여건 조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