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이 재정위기 해법을 놓고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독일이 향후 발생할 재정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7500억유로(약 1133조원) 규모의 구제금융기금 증액과 유로본드(E-Bond) 도입 방안에 반대 의사를 표시했다고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6개국) 재무장관 회의체인 유로그룹의 의장인 장 클로드 융커 룩셈부르크 총리는 이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기고한 글에서 “이른바 유럽차입청(EDA)을 조속히 신설해 유로본드를 발행하는 길만이 유로존 재정위기를 종식할 방안”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에 독일의 볼프강 쇼이블레 재무장관은 “우리가 재정정책에 있어서 국가적 경쟁력을 갖고 있는 한 우리는 유로존 국가들이 재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동기부여와 제재 수단을 포기할 수 없다”면서 유로본드 제안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앞서 조에르그 아스무센 독일 재무 부장관은 지난 3일 “유로본드 도입 등의 움직임은 유럽 각 국가가 자신의 재정상황을 스스로 개선하도록 장려하지 않을 것”이라고 반대한 바 있다.
프랑스의 니콜라스 사르코지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지난달 구제금융기금의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에도 거부 의사를 나타냈다.
이에 장 클로드 트리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지난 3일 “독일과 프랑스 등은 구제금융기금 확대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벨기에의 디디어 라인더스 재무장관은 “지금보다 더 큰 규모의 항구적인 재정안정 매커니즘을 설립해야 한다”면서 “국제통화기금(IMF)도 이런 방안을 선호하고 있고 유럽이 결정하면 이를 도울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유럽연합(EU) 정책결정자들은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정규 회의를 갖고 유럽 재정위기 확산을 막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