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긴축 가속페달 밟나...금리인상 관측 부상

입력 2010-12-07 14:51 수정 2010-12-07 15: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0~12일 중앙경제공작회의 주목...내년 경제정책 기조 결정

중국의 중앙경제공작회의를 앞두고 긴축정책 가속화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 선인왕궈증권의 리휘융 애널리스트는 “중국 중앙인행인 인민은행이 오는 13일 11월 물가지표 발표에 맞춰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고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중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추이(블룸버그)

리휘융 애널리스트는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5.1% 상승해 지난 10월 상승률인 4.4%를 훨씬 웃돌 것”으로 예상했다.

루정웨이 상하이 흥업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이 7일부터 18일 사이에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내다봤다.

블룸버그통신의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중국이 내년 말까지 기준금리인 1년 만기 예금금리와 대출금리를 각각 1%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측했다.

중국은 오는 10일부터 사흘간 당과 정치 지도부와 국영기업 총수들이 참석한 가운데 내년도 경제정책 기조를 결정하고 내년부터 시작될 12차 5개년 계획의 구체적 실행방법을 논의하는 중앙경제공작회의를 연다.

앞서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지난 3일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부동산버블 리스크를 제한하기 위해 종전의 적당하게 느슨한 통화정책에서 신중한 통화정책으로 전환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중국은 최근 CPI 상승률이 정부 목표인 3%를 훨씬 웃돌고 은행 지급준비율 인상에도 은행들의 신규대출이 계속 커지는 등 경기과열 기미를 보여 정부가 긴축정책을 강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스티븐 그린 스탠다드차타드(SC) 중국 리서치 부문 대표는 “중국 소비자와 기업인들의 체감물가는 공식통계보다 훨씬 높다”면서 “기준금리 인상이 현재 가장 현명한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긴축정책 관련 기준금리 인상 이외에 내년도 신규대출 목표의 축소와 부동산 대책, 위안화 절상 여부도 관심의 대상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회의에서 내년도 재정적자 목표를 국내총생산(GDP)의 2%로 정하고 내년도 은행권 신규대출 목표는 올해의 7조5000억위안(약 1282조원)에서 축소된 6조~7조위안 사이로 잡을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상하이 증권보는 이날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은 지난달 6000억위안 가량의 신규대출을 기록해 이미 올해 신규대출이 정부 목표를 초과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경제관찰보는 전일 중앙정부가 부동산 보유세 시범 도입을 내년 초부터 실시할 예정이며 현재 재무부와 세무총국이 관련 조례의 수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저우촨화 중국 재무부 세무정책사 종합처장은 지난 6일 “개인부동산이 점차 과세대상에 포함될 것”이라며 “부동산 보유세가 지방정부의 안정적이고 중요한 재정수입의 원천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밝힌 바 있다.

현재 중국은 개인의 부동산보유세가 없지만 올해 부동산가격이 급등하면서 상하이 등 일부 대도시에서 시범 도입이 꾸준히 거론돼 왔다.

정부의 통제로 중국 위안화는 달러에 대한 절상폭이 지난 6월 관리변동환율제 복귀 이후 3% 미만에 불과하다.

그러나 크레디 아그리콜의 미털 코테차 글로벌 외환 전략 부문 대표는 “중국 당국은 인플레이션에 대처하기 위해 위안화 절상의 필요성을 인정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위안화 가치가 내년 6월말까지 달러당 6.43위안 수준으로 절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달러ㆍ위안 환율은 현재 달러당 6.64위안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줄줄 새는 보험료…결국 가입자 '쥐어짜기' [멍든 실손개혁下]
  • 피겨 이해인 "미성년 성추행 사실 아냐…부모님 반대로 헤어진 후 다시 만나"
  • 급전 끌어 쓰고 못 갚고…현금서비스·카드론 잔액 동반 증가
  • ‘유퀴즈’ 빌리 아일리시, 블랙핑크 제니와 각별한 우정…“평소에도 연락, 사랑한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12:2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278,000
    • -1.37%
    • 이더리움
    • 4,780,000
    • -0.31%
    • 비트코인 캐시
    • 535,000
    • -3.78%
    • 리플
    • 663
    • -1.19%
    • 솔라나
    • 194,000
    • -0.67%
    • 에이다
    • 540
    • -2.35%
    • 이오스
    • 811
    • -0.12%
    • 트론
    • 174
    • +0.58%
    • 스텔라루멘
    • 127
    • -1.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700
    • -2.94%
    • 체인링크
    • 19,590
    • -2.15%
    • 샌드박스
    • 471
    • -0.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