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건설업체들이 리비아 철수 방침을 확정했지만 현장 일용직인 제3국 출신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구제책이 마땅치 않아 혼선을 빚고 있다.
리비아 내 거의 모든 건설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인도, 베트남, 이집트, 필리핀, 태국, 네팔 등 외국인 근로자들의 안전을 보장할 책임은 1차적으로 업체에 있다.
일부 업체는 외국인 근로자를 동반한 탈출을 감행하고 있지만, 고용 인원이 대규모인 업체들은 이마저도 여의치 않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리비아 남부 젠탄에서 주택사업을 하는 이수건설 소속 한국인 직원들은 25일 방글라데시와 베트남 등 제3국 출신 근로자 400여명을 차량에 나눠태우고 2시간 거리의 튀니지 국경까지 달리는 육로 탈출에 나설 예정이다.
굽바에서 조업 중인 현대엠코 역시 한국인 80명을 2개조로 나눠 40명은 현장에 남고 나머지는 25일 외국인 근로자 900명과 함께 육로로 이집트 국경을 넘기로 했다.
반면 외국인 인부 2500여명과 함께 트리폴리 인근 현장에 고립된 한 업체 관계자는 "외국인 근로자들을 출국시키는 비용이 만만치않고 정부가 전세기를 보내도 전원 철수가 불가능하다"고 토로했다.
자위야 지역의 업체 역시 2000명이 넘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출국 방침을 정하지 못한채 고민에 빠져있다.
한국인 직원만 짐을 쌀 경우 외국인 노동자들의 폭동이 우려될 뿐 아니라 회사 관련 안좋은 소문이 퍼져 추후 공사에 영향을 미칠까 걱정된다는 게 업체의 설명이다.
업체 관계자는 "제3국 근로자들이 먼저 나가야 한국인 직원들도 자유롭게 탈출할 수 있다"며 "우리 정부가 제3국과 접촉해 공조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