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1/03/20110323033733_ahnkj_1.jpg)
최기의 KB국민카드 사장은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단기간에 전체 1위를 목표로 하면 무리수가 뒤따르기 때문에 과욕을 부리지 않겠다는 말이다.
최 사장은 “KB국민카드의 출범이 업계 경쟁 모티브를 제공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균형감 있게 영업을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KB국민카드가 우선 공략한 목표는 대출상품 선포인트제도 등 금융세이브 서비스를 통한 캡티브 시장(Captive Market)이다. 금융세이브 서비스는 자동차나 가전제품을 구매할 때 선포인트를 받아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처럼 대출상품에 대해 선할인 혜택을 주는 것이다. 1억원 이상 대출 시 최고 50만원의 선포인트를 제공한다.
최 사장은 “캡티브시장을 가지고 있는 경쟁사들은 이미 고객들을 장기간 ‘락인(Lock-in)’ 하고 있다”며 “우리는 금융상품이 핵심역량인 만큼 금융 세이브로 락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과당경쟁 등 우려에 대해 “일부 ‘꺾기 아니냐, 과당경쟁 가져오는 것 아니냐’는 부정적인 시각이 있기도 하지만 그런 일이 없도록 적절하게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예컨대 50만원 선할인받으려고 3억~4억원씩 되는 집을 사려는 사람은 없을 것이며 집을 장만하려고 대출을 받다 보면 최고 50만원까지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가계 부담을 낮춰줄 수 있다는 게 최 사장의 설명이다.
최 사장은 또 선택적으로 시장을 공략해 1위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체크카드 역시 조금 더 노력하면 1등을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포부를 밝혔다.
KB국민카드의 지난해 체크카드 실적은 9조6000억원으로 농협(10조8000억원), 신한카드(10조4000억원)와 함께 ‘빅3’를 형성하고 있다. 시장점유율로는 20~23% 내외다.
최 사장은 시장점유율 확대에 대해 “단기간에 1등을 하려면 욕심을 부려야 한다”며 “무리하게 단기적 성과를 내기보다 회사가 추진할 수 있는 부분을 파악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올해는 KB국민카드가 분사하면서 창업과 전산투자 비용이 들어 작년보다 수익이 조금 줄겠지만, 내년에는 다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KB국민카드는 최근 수년간 매년 4500억~5000억원의 수익을 냈다.
아울러 이번 달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조치로 KB국민카드도 오는 28일 일반 가맹점은 1.7%로, 영세 가맹점은 1.0%로 각각 체크카드 수수수료율을 낮춘다.
그는 내달 아파트 관리비를 10% 할인해주는 새 카드 출시 계획도 소개했다. 최 사장은 “전국 30만 가구를 대상으로 5년간 5조원의 실적을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