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사태 해결을 둘러싼 유럽중앙은행(ECB)과 독일간 갈등의 골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독일은 ECB의 반대에도 여전히 그리스 구제금융에 대해 민간 채권단이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ECB는 이에 대해 디폴트(채무불이행)시 그리스 국채를 담보로 받을 수 없다며 맞서고 있다.
장-클로드 트리셰 ECB 총재는 1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그리스가 디폴트에 빠질 경우 더이상 디폴트 등급을 받은 국채를 담보로 대출을 제공할 수 없다고 밝혔다.
트리셰 총재는 “유로존(유로화 사용국) 각국 정부는 그리스가 디폴트를 선언할 경우 은행권 보호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의 이 같은 발언은 오는 21일 예정된 유로존 긴급 정상회담을 몇일 앞두고 입장을 굽히지 않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를 겨냥한 것이라고 FT는 풀이했다.
메르켈 총리는 ECB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민간 채권단이 보유한 그리스 국채를 강제 롤오버(차환)하는 방식을 고수하며 2차 구제금융 협상을 지연시키고 있다.
민간 채권단이 지원에 참여하지 않으면 독일과 프랑스 등 경제 규모가 큰 국가들이 더 많은 몫을 분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메르켈 총리는 “그리스 구제금융에 대한 새로운 합의가 이뤄져야 21일 정상회담에 참여할 것”이라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앞서 국제 신용평가사들은 민간 투자자들이 그리스 국채를 자발적으로 롤오버해주는 이른바 ‘프랑스식 해법’이 ‘부분적 디폴트’ 등급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ECB 내에서는 그리스에 대한 추가 구제금융 제공 결정이 지연될 경우 유로화가 전면적 위기에 빠질 것이라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이브 메르쉬 ECB 이사는 이날 닛케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금융시장이 매우 불안한 상황”이라면서 “이는 유로존 재무장관 등 정책 당국의 의사 결정이 지연되어 왔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유로존 재무장관들은 지난 11일 회의에서도 그리스에 대한 2차 구제금융 제공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