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천공항의 민영화 방식으로 국민주 공모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돼 주목된다.
이는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제안한 방식과 거의 같은 방식이다.
국토해양부는 인천공항공사의 지분 매각 방식 가운데 하나로 국민주 공모를 추진하는 방안을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라고 1일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인천공항공사의 우선매각 지분 15%를 국민주와 우리사주 방식으로 매각하는 안을 마련해 매각 방식과 절차 등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부와 조율하고 있다"며 "매각 방식 등은 이르면 내년 결정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답보 상태를 타개하기 위해 지분 매각 방식과 매각으로 마련된 자금의 용도 등을 일단 정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선매각 지분 15% 가운데 어느 정도의 비율을 국민주로 공모할지는 기재부와 협의 중이며, 국민주를 일반청약으로 할지 국민에게 혜택을 돌려준다는 차원에서 예정가보다 싸게 공모할지도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같은 방침은 세계 최고의 공항으로 인정받는 인천공항공사의 민영화가 국민적 저항에 부닥쳐 좀처럼 진척을 보이지 못하자 고육책으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국토부는 인천공항공사 지분 매각 상한선을 49%로 설정하고, 외국인 지분을 30%로 제한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항공법 개정안을 국회에 상정해 현재 국토위 법안심사소위원회에 계류돼 있다.
한편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는 이날 인천공항공사 민영화 방식과 관련 "포항제철과 같이 국민주 공모 방식의 매각을 추진하겠다"며 "인천공항공사를 국민주 방식으로 매각하는 것이 서민정책이 되는 데다 특혜 매각 시비에서도 벗어날 수 있고 국부 유출도 방지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