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3년간 매맷값 대비 전셋값 비율(이하 전세비율)이 높은 아파트일수록 매맷값 상승률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번지가 최근 3년간 서울 소재 아파트 매맷값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2.81% 하락한 반면 전세비율 60%이상 아파트는 18.71%의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세비율이 50%대인 아파트도 5.52% 상승했다.
반면 40%대는 -0.94%, 30%대는 -5.9%, 30%미만은 -2.34%로 기록해 전세비율이 낮을수록 매맷값은 하락세를 나타냈다.
최근 3년간 전세비율이 60%이상 지역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낸 곳은 용산구로 57.42%를 기록했다. 이어 강북구(38.16%), 금천구(34.29%), 노원구(33.82%), 동대문구(28.02%) 등 순이었다.
같은 기간 경기지역 역시 전세비율이 높을수록 매맷값 상승률이 컸다. 전세비율 60%이상과 50%대의 아파트 매맷값은 각각 10.48%, 3.5%를 기록했다.
반면 40%대는 -4.47%, 30%대는 -10.31%, 30%미만은 -12.76%의 변동률을 기록해 전세비율과 매맷값 변동률이 비례했다.
부동산1번지 관계자는 “부동산 불황기에 따라 강남 등 전세가 비율이 낮은 고가 아파트는 투자수요가 줄은 반면 강북 등 상대적으로 저렴한 아파트로 실수요자가 몰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