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방송장비산업이 연평균 7%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식경제부는 4일 ETRI,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를 통해 국내 방송장비산업 실태를 조사해 발표했다.
국내시장은 디지털 전환, 신규 방송사업자 선정, 뉴미디어 방송 도입 등으로 연평균 7%씩 성장해 2018년에는 방송장비산업 규모가 3조4525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신규 종편시장의 경우, 2015년까지 종편사업자(4개)가 약 3000억원, 보도채널(1개)이 약 250억원을 방송장비에 투자할 것으로 내다봤다.
구체적으로 제조업계의 상황을 살펴보면, 국내 방송장비 업체의 평균 매출액은 36억7000만원이며, 상위 10개 업체의 매출액이 전체의 3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력품목의 매출액은 내수가 3351억원, 수출이 1300억원으로 수출비중은 27.9%며, 주요 수출국은 중국, 미국, 유럽, 일본 등으로 집계됐다.
방송장비 업체에서 근무하는 평균 종업원 수는 19.3명으로 조사됐으며, 부문별 종업원 비중은 연구개발 비중이 32%로 가장 높았다.
제조업체가 인식하는 자사 제품의 품질수준은 100점 만점에 83.7점으로 조사됐다.
수요기관 상황을 살펴보면, 방송사는 동종업계, 전시회 등 정보획득 경로가 다양하나, 비방송사는 주변인의 추천, 인터넷 등 상대적으로 정보획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는 방송사는 수신장비, 송신장비, 송출장비, 제작장비 순으로 국산화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방송사는 조명 등 기타 장비, 음향장비, 영상장비 순으로 국산화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내 방송장비 산업의 고도화를 위해 R&D에서 인프라,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