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K7 3.3 GDI 출시…25일부터 판매 돌입

입력 2011-08-24 11: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9인치 블랙 럭셔리 휠, 리얼 알루미늄 내장트림 등 고유 디자인 신규 채택

기아자동차는 준대형 럭셔리 세단 K7 3.3 GDI 모델을 출시하고, 25일부터 본격 판매에 들어간다고 24일 밝혔다.

K7 3.3 GDI 모델은 최고출력 294마력, 최대토크 35.3kg·m의 성능을 내며 1리터당 10.9㎞의 연비를 내고 있다. 고성능 3.3 GDI 엔진을 탑재해, 파워 넘치는 주행을 구현했다.

또한 투 톤 컬러 디자인을 휠 부위에 채택해 스포티한 느낌을 더했고, 럭셔리한 이미지를 부여해 주는 ‘19인치 블랙 럭셔리 휠’과 홀로그램 패턴이 가미된 리얼 알루미늄 소재를 변속기 노브, 하단 트레이, 컵홀더 등의 부위에도 스포티함과 하이테크한 느낌을 잘 살린 ‘리얼 알루미늄 내장 트림’ 등 K7 3.3 GDI 모델 고유의 신규 디자인 사양을 채택했다. (단, ‘19인치 블랙 럭셔리 휠’과 ‘리얼 알루미늄 내장 트림’은 별도 옵션으로 선택 가능)

이와 함께 차 전방 범퍼에 부착된 공간 탐색용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 주차 가능 영역을 탐색한 후 스티어링 휠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기어 변속 및 브레이크 페달 조작만으로 쉽게 평행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을 새로 추가했다.

또한 차체 각 부위에 적용된 흡차음제를 보강하고 부품 사양을 변경하는 등 소음을 줄이기 위한 철저한 노력을 기울여 동급 최고의 성능과 함께 한 차원 높은 정숙성까지 확보했다.

이번 K7 3.3 GDI 모델의 출시로 K7은 기존 2.4 GDI, 3.0 GDI 모델과 함께 엔진 풀 라인업을 구축해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한층 넓혔다.

기아차 관계자는 “K7이 3.3 GDI 엔진을 탑재해 더욱 강력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면서 “K7 3.3 GDI 모델 출시로 차별화된 럭셔리 준대형 세단을 원했던 많은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할 것”이라고 밝혔다.

K7 3.3 GDI 모델은 ‘노블레스’ 1개 트림으로 운영되며, 판매 가격은 4070만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나는 솔로’ 24기 광수, 女 출연자들에 “스킨쉽 어떠냐”…순자 “사기당한 것 같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900,000
    • +0.77%
    • 이더리움
    • 4,059,000
    • +0.59%
    • 비트코인 캐시
    • 478,800
    • +0.59%
    • 리플
    • 3,993
    • +4.89%
    • 솔라나
    • 254,800
    • +1.27%
    • 에이다
    • 1,161
    • +2.47%
    • 이오스
    • 954
    • +3.47%
    • 트론
    • 355
    • -2.47%
    • 스텔라루멘
    • 506
    • +2.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000
    • +1.42%
    • 체인링크
    • 26,960
    • +0.97%
    • 샌드박스
    • 548
    • +1.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