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산업 분야에 기상청 출신 인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미경 의원(민주당)은 22일 기상청 국정감사에서 기상산업사업자에 대해 기상청 출신이 많은 것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현행 기상산업진흥법상 기상관련 업은 △예보업 △감정업 △컨설팅업 △장비업 등 총 4개로 나눠져 있다.
이 중 업종별 분류를 살펴보면 기상산업진흥법이 만들어진 이후 지금까지 장비업은 전체의 대부분(115개 중 99개)을 차지하고 있고 예보·컨설팅업은 2009년부터 지금까지 16개다.
특히 예보·컨설팅 업체의 상근 인력들을 살펴보면 16개 업체중 12개 업체에 기상청 출신들이 근무하고 있다.
또한 신고된 42명 상근 인력 중 18명이 기상청 퇴직자로 밝혀졌다.
이미경 의원은 “기상청 출신들이 전문가이기 때문에 예보·컨설팅업에 적합하다는 건 이해하지만 이런식으로 업계가 지속된다면 기상산업은 기상청 퇴직 직원들 일자리 만들어 주는 산업으로 전락해 버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어 “기상산업계가 기상청과의 유착관계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고 기상산업의 자생력을 키우려면 기상청에서 민간 전문가의 육성을 지원하고 업계에는 일정비율 민간 전문가를 채용의무를 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