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와 카드사들의 개인 정보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95%는 최근 1년 내에 개인정보를 유출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 7월부터 8월까지 보험과 신용카드업 등 6개 업종, 60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개정된 개인정보취급방침을 반영한 업체는 전체의 27개(45%)에 불과했다. 이중 보험사와 신용카드사는 각각 15곳 중 4곳(26.7%), 10곳 중 3곳(20%)에 불과했다.
업체들의 개인정보 관리 소홀로 인한 소비자들의 피해는 확산되고 있다. 소비자원이 최근 1년 이내 개인정보를 제공한 전국 20세 이상 소비자 1천명을 조사해보니, 전체의 94.9%가 개인정보 유출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개인정보 유출 내용은 ‘보이스피싱’(48.8%), ‘신상정보 공개’(12.0%), ‘구매 안 한 상품대금 청구’(8.0%) 순이었다.
이러한 피해를 본 소비자들의 84.3%는 ‘비밀번호 변경’, ‘서비스 탈퇴’, ‘사업자에 항의’ 등 최소한의 자구노력을 해야했다. 그러나 조사 대상의 88.6%는 아무런 보상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 유출피해 경험자 중 11.4%는 피해보상을 받았다고 답했으나, ‘개인적 또는 공개적 사과’(67.6%)와 ‘해당사가 직접 개인정보 회수나 삭제’(25.0%)가 대부분이었으며 ‘금전적 보상’(5.6%)이나 ‘관계자 법적 처벌’(1.9%)은 거의 없었다.
회원 탈퇴, 이용계약 종료 후 자신의 개인정보가 파기됐는지, 아직도 보관 중인지 여부에 대해 응답자의 87.2%는 통보받은 바 없었다. 응답자의 92.7%는 자신의 개인정보가 파기됐는지 또는 언제쯤 파기될 예정인지 제대로 확인할 수 없었다.
소비자원이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들의 개인정보 관리 수준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평가해보니 100점 만점에 33.3점으로 낙제점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