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8일 열리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과 유럽연합(EU) 재무장관회의가 새로운 문제까지 감안해야 하는 설상가상의 처지에 놓이게 됐다.
당초 이번 회의는 유로존 채무 및 금융위기 종합대책을 해결하기 위해서 마련된 자리였다. 하지만 이후 유로존을 둘러싼 상황이 급변, 새로운 문제들이 불거지고 있어 회의의 범위가 넓어지게 됐다.
우선 그리스가 최근 EU 구제금융안 수용 여부를 국민투표에 제안한다고 발표하는 등 깜짝 행보를 보였고, 상황이 크게 바뀌었다. 국민투표안은 철회됐으나, 이로 인해 유로존 전체가 정치적인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 G20(주요 20개국) 정상회담에서 국제통화기금(IMF) 재원확충까지 사실상 무산돼 됐다. IMF재원을 이용하려던 전략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하지만 유로존 재무장관회의(유로그룹)는 최근 악화된 금융불안에도 불구, 그리스 지원 방안은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위기의 불길이 이탈리아와 스페인, 프랑스 등으로 위기가 확산되지 않도록 자체 방화벽을 세워주는 것도 급선무다. 이미 이탈리아 채권가격도 최고치를 기록,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도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은행 자본 확충과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가용재원 확대 방안도 달라진 금융시장 상황을 감안해 재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EFSF 기금 자체의 확대나 유럽중앙은행(ECB)의 개입, 유로채권 발행 등 근본적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