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횡령·배임 등 코스닥의 만성 고질병이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투자자 신뢰 회복을 위해서는 상장요건을 강화 등 제도적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올들어 코스닥 상장사의 횡령·배임 피해 추정액은 3865억원(23건)으로 지난해 2817억원(19건)보다 37.2% 급증했다.
상장사의 횡령·배임 사건 발생은 상장폐지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경영진의 '한탕주의'가 여전한 셈이다.
상장 폐지 기업수 역시 이미 60개를 넘어섰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증시에서 퇴출된 기업들은 유가증권시장 13개, 코스닥시장 53개 등 총 66개사에 달한다.
특히 상장 전 분식회계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로 상장폐지가 결정된 신텍을 통해 알수 있듯이 상장 요건 강화가 불가피하다. 전문가들 역시 코스닥시장 변화를 위해서는 상장요건을 강화하는 등의 조치가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금감원의 대대적인 조사 발표 이후 주춤하기는 하지만 테마주에 의해 시장이 좌우되는 현상 방지를 위한 대대적인 대책 마련 역시 시급하다.
증권사 스몰캡 팀장은 "테마에 따라 급등하는 종목에 일희일비하다 돈을 잃는 것은 개인의 욕심이 빚은 결과"라며 "어느 정도의 재무제표만 볼 줄 알고 관련 지식을 쌓는다면 그런 업체에 투자하는 일은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시장의 신뢰 회복을 위해서는 기업 자체가 변하는게 급선무.그동안 상당수 코스닥업체는 장기적이고 일관된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향상보다는 유행을 좇는 데만 열중했던 게 사실이다. 오락가락 행보가 투자자에게 막연한 불안감을 주고 한탕심리를 증폭시킨 것이다.
증시 관계자는 "먼저 기업들이 '코스닥' 하면 떠올릴 수 있는 '색깔'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하며 "뛰어난 기술을 가진 기업들만이 코스닥시장에 있다는 인식이 들면 투자자들의 관심도 자연히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채용-이재현 기자
이로 인해 일어나는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