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홍석우 지식경제장관,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에 이어 정치권의 대기업 때리기에 우려를 표명했다.
박 장관은 2일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여ㆍ야 할 것없이 정치권에서 기업 때리기식 공격이 이어지고 있다”며 “이는 국민 편가르기를 심화시키고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정치권에서 총선과 대선을 겨냥한 대기업 옥죄기는 양극화를 조장해 사회불안을 야기시키고 이는 결국 경제 성장에 해악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박 장관은 특히 대기업에게 상생발전과 소득불균형 해소를 위한 자구노력의 강화를 당부했다. 대내외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확고한 경제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중소 상생발전을 위해 대기업이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는 것.
박 장관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뤄나가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힌 뒤 “이를 위해서는 이윤 추구와 함께 공정한 분배에도 관심을 더 기울여야 한다”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정부가 국민통합의 주체로서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박 장관은 “글로벌 경기 위축과 내수침체 여파로 대내외 경기 상황이 좋지 않다”면서 “정부 부처는 현재 정치권의 움직임에 흔들리지 말고 일자리 창출과 물가안정 등에 힘써 국민통합에 매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정부가 추진한 내수활성화 실적을 점검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시공경험 평가기준 완화 등으로 중소형공사 계약실적 중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73.8%에서 작년 8~12월 78.4%로 늘었다.
20억원 이상 대형 정보기술(IT) 사업에서 중소 IT 업체의 수주비중도 지난해 33.7%로 전년 26.4%보다 증가했고, 중소기업 특성화 고등학교의 취업률은 29.6%에서 작년 47%(잠정)으로 올랐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보급을 늘려온 온누리 상품권의 구매실적도 2010년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2224억원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