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휴대전화 사용자들은 전화와 문자메시지에 평균 13.9 달러(약 1만6천원)를 쓰고 현금으로 전화비를 지불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영국 경제 주간 이코노미스트는 11일(현지시간) 휴대전화로 문자를 보내는 데 몰두하는 북한 젊은 여성들의 사진과 함께 북한에서 확산되고 있는 휴대전화 현황을 소개했다.
이 잡지에 따르면 그동안 북한 주민들은 밀수한 휴대전화를 이용해 국경 근처에서 중국의 이동통신망을 활용해 왔으나, 이제 평양의 공식 이동통신사인 고려링크의 사업이 번창하고 있다.
고려링크는 이집트 오라스콤이 지분의 75%를 갖고 있는 북한의 휴대전화 서비스로 18개월만에 가입자 수를 30만명에서 100만명으로 늘렸다.
특히 북한의 부유한 고객들은 유로화를 통해 휴대전화 요금을 지불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고려링크는 유로화로 통신비를 지불하면 전화가 몰리지 않는 시간대에 무료 통화를 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북한 당국은 이를 통해 외화수입을 올리고 있다는 해석이다.
이코노미스트는 "휴대전화 고객들은 비공식적인 개인간 거래를 통해 외화를 구한다"면서 "이는 금지된 것이지만 북한 당국이 주민을 먹여살리는 데 실패하면서 이러한 자본주의 관행을 모르는 척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 잡지는 "휴대전화 사용자들은 국제전화를 쓸 수 없으며 인터넷 접속도 불가능하고, 전화와 문자메시지가 감시당하지 않는다고 상상하기도 힘들다"면서 또한 "노동신문은 문자메시지를 통해 뉴스를 전달함으로써 휴대전화를 정부의 선전물 전파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