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시형생활주택 84%가 초소형"

입력 2012-02-28 14: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시내 공급된 도시형 생활주택 10채 중 8채 이상은 전용 30㎡미만 초소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에서 공급된 원룸형·단지형다세대·단지형연립 도시형생활주택(인·허가기준) 3만3833가구의 전용면적별 가구 수를 분석한 결과, △12~20㎡미만이 65.86% △20~30㎡미만이 18.36%로 초소형주택이 84.22%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30~40㎡미만 4.85% △40~50㎡미만 4.91% △50~60㎡미만 5.02% △전용 60㎡이상 1%로 조사됐다.

구별로는 종로구가 1223가구 중 99.35%인 1215가구가 전용 30㎡미만으로 초소형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성동구, 영등포구, 동작구, 용산구, 성북구, 서대문구, 송파구, 마포구, 광진구, 강동구 등도 지역 내 초소형 도시형생활주택 공급비율이 90%를 넘었다. 해당 지역들은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이 집중 공급되고 있다.

반면, 양천구와 도봉구 등 단지형 다세대 공급이 활발한 지역에서는 전용 30㎡이상 공급 비율이 각각 59.46%, 36.93% 등으로 나타났다.

도시형생활주택은 원룸형은 전용 12~50㎡, 단지형 연립과 다세대는 전용 85㎡이하까지 건설할 수 있으나, 공급자들이 최대한 가구 수를 늘리기 위해 초소형 원룸위주로 공급하고 있다고 업체 측은 판단했다.

하지만 특정 면적의 공급량이 집중될 경우 중장기적으로 초소형 주택이 공급과잉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2~3인 가구 수요를 흡수하는데 한계가 있어 당초 정책목표였던 전월세 시장 안정에도 큰 기여를 못할 거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국토해양부는 2~3인용 도시형생활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해 원룸형 전용 30~50㎡를 건설할 경우 국민주택기금지원 한도 상향 등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써브 나인성 연구원 "당초 1~2인 가구의 주택수요 흡수를 위해 도입된 주택유형이지만, 너무 작은 면적위주로만 집중 공급되는 쏠림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특정 면적에 과도하게 공급되면 면적별 인허가량을 조절하는 등 양극화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마련이 시급해 보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320,000
    • -0.62%
    • 이더리움
    • 4,232,000
    • +4.34%
    • 비트코인 캐시
    • 499,800
    • +0.32%
    • 리플
    • 4,060
    • -0.98%
    • 솔라나
    • 275,600
    • -3.91%
    • 에이다
    • 1,232
    • +6.12%
    • 이오스
    • 973
    • +1.35%
    • 트론
    • 368
    • +0.82%
    • 스텔라루멘
    • 51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450
    • +0.58%
    • 체인링크
    • 29,470
    • +3.55%
    • 샌드박스
    • 613
    • +3.3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