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2/05/20120525091928_201519_500_336.jpg)
경제지표 부진 등 성장 둔화 조짐이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감세와 재생에너지와 같은 주요 산업에 대한 지원 등 중국 경기부양책이 윤곽을 나타내고 있다고 2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HSBC홀딩스가 이날 발표한 중국의 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다시 한번 중국 경기가 둔화하고 있음을 확인시켰다.
5월 PMI 예비치는 전월의 49.3에서 48.7로 하락하며 제조업 경기가 7개월째 위축할 것임을 시사했다.
수치가 50을 밑돌면 경기위축을 가리킨다.
중국은 지난달 무역과 산업생산, 은행대출 등 모든 지표가 전반적인 부진을 면치 못했다.
중국 인민은행이 지난 12일 올 들어 두번째 은행 지급준비율 인하를 발표하고 원자바오 총리가 지난 주말 경제성장을 정책 우선순위에 놓을 것이라고 역설하는 등 정부의 경기부양 움직임이 가시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펼쳤던 대규모 경기부양책 대신에 소비를 진작시키고 고부가가치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등 신중한 정책을 펼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통해 중국 경제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에서 탈출했으나 인플레이션과 부동산버블 등 부작용이 심각했기 때문.
정부는 올 초 상하이에서 일부 서비스 업체들을 대상으로 영업세와 부가가치세를 통합하는 정책을 시범 실시했다.
영업세를 폐지하는 대신 6~11%의 낮은 부가가치세 세율을 이들 업체에 적용한 것이다.
KPMG의 라크란 울퍼스 세금 전문 파트너는 “상하이의 시범 프로그램이 오는 10월부터 베이징에서 도입되고 앞으로 2년 안에 전국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KPMG는 현재 중국 정부의 세제개편 작업을 돕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지난 16일 에너지 절약형 가전제품 구매 시 보조금을 지원하는 정책을 앞으로 1년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무원은 또 “태양광과 기타 청정에너지 사용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광섬유를 이용한 초고속통신의 보급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