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7일 인천시청은 인천종합터미널 부지 및 건물 매각을 위한 투자개발 사업자로 롯데쇼핑을 선정하고 투자 협약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매매금액은 8751억원으로 지급일정은 2013년 1월 31일 이내로 정해졌다. 롯데쇼핑은 매매대금의 10%를 이행보증금으로 약정체결 직후 은행영영일 기준 10일 이내, 즉 다음달 10일까지 인천시 측에 납부키로 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롯데쇼핑은 버스터미널과 백화점, 마트, 디지털파크, 시네마 등 앵커테넌트 복합개발을 통해 구도심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소식을 접한 신세계 측은 ‘상도덕에 어긋난다’며 불쾌한 심정을 드러냈다. 이 지역에서 지난 1997년부터 백화점과 이마트를 운영해오고 있는 신세계는 시장활성화와 사업확장을 위해 애써온 것이 물거품으로 됐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는 1800억원을 투자해 5000여평 규모의 주차타워를 증축하기도 했다. 신세계는 인천시와 백화점, 이마트 운영은 오는 2017년까지, 증축건물은 오는 2031년까지 장기임대 계약을 체결한 상황이었다.
이번 인천시와 롯데의 계약이 지속된다며 신세계는 내년부터 연간 150억원 가량의 임대료를 롯데에 지불해야할 뿐만 아니라 5년 후 백화점과 이마트 운영 계약연장도 힘든 처지에 놓였다.
‘유통 거물들의 동침’에 대한 여론이 뜨거워지자 인천시-신세계-롯데 간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먼저 신세계는 인천시와 롯데간 협약 절차에 문제가 없는지 적극 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이다. 인천시가 종합터미널 매각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가격 부담으로 매수포기했던 실수를 어떻게서든지 만회하기 위해서다.
신세계는 종합터미널 매수자 조건에 롯데가 충족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유로 인천시가 재정적 부담 때문에 롯데를 우선적으로 미뤄졌다고 주장한다.
인천시는 종합터미널 매각 대상을 외국인투자촉진법에 의거한 외국인투자기업으로 설정했다. 주목할 점은 이번 인천시와 약정을 체결한 롯데가 아직 외국인투자기업에 속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롯데 측은 올해 말까지 외국인투자기업 자격을 갖춰야하고 이를 충족하지 못한다면 인천시는 ‘계약 불이행’을 이유로 롯데 측이 지급한 10%의 이행보증금을 몰 수 할 수 있다.
신세계 관계자는 “이번 협약이 조건부 MOU일 가능성이 있고, 인천시가 재정난 상황에서 협약을 서두른 것은 롯데를 밀어준 것 아닌지 의심스럽다”며 “법적 문제, 절차상 하자는 물론 인천시와 재협상 여지가 있는지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인천시는 “신세계에게도 똑같은 매각조건을 제시했었으나 자금을 문제로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는데 이제와서 문제제기를 한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롯데는 정당한 방법으로 계약을 체결했기 때문에 문제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롯데 관계자는 “지면경쟁입찰을 통해 적법한 절차를 거쳤고 문제될 것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