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2/10/20121004114653_226700_520_304.jpg)
◇ 부산저축은행 연루 의혹 = 문 후보는 지난 2003년 노무현 정부시절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을 지내며 부산저축은행 금융감독원 검사 완화를 위해 금융감독원 담당국장에게 청탁 전화를 걸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종혁 전 새누리당 의원은 지난 4월 총선을 앞두고 “문 후보가 민정수석 시절 금감원 검사를 완화하기 위해 금감원 국장에게 전화를 걸었다”며 “법무법인 부산은 2004~2007년 부산저축은행 한 곳으로부터 59억 원의 사건수임료를 받았는데 이 전화가 청탁로비의 대가일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문 후보는 4월 총선 전까지 ‘법무법인 부산’의 대표 변호사로 있었는데, 노무현 정부 시절 ‘부산’의 매출이 단기 간에 뛴 것을 두고 문 후보를 의식한 현관예우(現官禮遇)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 친박연대 서청원 변호 논란 = 문 후보가 지난 2008말 공천헌금 수수혐의로 기소된 서청원 친박연대 전 대표의 변호인으로 참여한 것을 두고도 말들이 많다.
문 후보 측은 “서 전 대표가 개인적 용도로 사용한 게 아니라 정당이 최고위원회 의결을 거쳐 차입금으로 회계책임자가 받아 당의 운영자금으로 쓴 사건으로, 서 전 대표 개인이 책임져야 할 사건인지 법리적으로 다툼의 여지가 있는 사건이었다”고 해명했다.
◇ 아들 특혜 취업 의혹 = 문 후보의 아들은 지난 2007년 한국고용정보원에 특혜채용됐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대학졸업예정자였던 그는 5급 일반직으로 채용됐다. 당시 문 후보는 대통령정무특보였다.
정진섭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의원은 당시 “고용정보원이 동영상 전문가를 뽑기로 했으면서도 채용공고에는 이를 명시하지 않았다”며 “결과적으로 동영상 전공자로는 문 후보 아들만 응모하게 됐다”며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당시 고용정보원장은 문 후보 밑에서 청와대 행정관을 지낸 권재철씨였고 그가 ‘대통령과 노동’이라는 책을 펴냈을 때 문 후보는 추천사를 썼다.
하지만 고용정보원 측은 “문 후보의 아들은 국내 기업 주최 광고 공모전에서 3차례 수상한 경력이 있고 토플(CBT) 점수도 상위권인 250점으로 충분한 자격이 있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