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조원 규모 용산역세권개발사업의 1대주주인 코레일이 사업 디폴트(부도) 가능성을 처음으로 언급해 주목된다.
13일 코레일 고위 관계자는 "디폴트는 막아야한다는 것이 기본적인 입장"이라면서도 "랜드마크빌딩 2차 계약금(4160억원)을 납부하려면 타 출자사들도 그에 합당한 리스크 분담을 반드시 해야한다. 만약 2500억원 CB(전환사채)발행에 출자사들이 동참하지 않으면 (추가 자금투입이 없고)용산역세권개발(AMC)는 부도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용산역세권개발사업이 디폴트를 피하려면 코레일이 약속한 랜드마크 2차 계약금이 필수적이라는 게 업계의 지배적인 시각이다.
하지만 코레일이 롯데관광개발 삼성물산 등 타 출자사들이 총 2500억원에 이르는 전환사채 발행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더 이상 추가적인 자금 지원은 없을 것이라고 못박아 버린 것.
이 관계자는 "기존 랜드마크 빌딩 선매입 당시 코레일은 총 4000억원 증자를 주장한 바 있다"며 "다만 출자사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CB발행 참여로 수위를 낮췄고, 게다가 1500억원은 코레일 등 일부 출자사만 참여했다. 더 이상 코레일만 손해를 보면서 사업을 진행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더 이상 코레일만 손해보며 추가적인 자금투입을 할수 없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하지만 기존 자본금이 대부분 바닥난 용산역세권개발은 내달까지 추가적인 자금지원이 없을 경우 디폴트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코레일이 다른 대책을 내놓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사업이 디폴트가 나게되면 가장 큰 손해를 보는 장본인이 코레일이 될수 있기 때문이다.
출자사들은 자본금만 손해를 보면되지만 1대주주이자 땅주인인 코레일은 타 출자사들의 소송까지 받을 수 있다.
게다가 최근 곽노상 부사장 김흥성 감사 등 코레일이 자사 임원을 용산역세권개발의 주요 임원으로 속속 투입하고 있다는 점도 아직 사업에서 손을 떼겠다는 의사가 없음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한 출자사 관계자는 “최근 디폴트 우려와 관련 코레일이 대책을 내놓지 않는(타 출자사들은)별다른 대책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출자사들은 이 사업을 코레일 사업으로 보고 있다. 대부분의 출자사들이 추가적인 자금투입을 꺼리고 있어 결국 코레일이 대책을 마련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