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는 박근혜 대통령이 주재하는 국무회의가 화상회의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청와대 본관 3층에 설치될 화상회의장 공사가 올 연말 완공을 목표로 마무리에 들어갔다고 청와대가 20일 밝혔다.
청와대는 올해 말 산업통상자원부 등 6개 부처가 과천에서 세종시로 이전하는 등 대부분 부처가 세종시로 옮겨가면서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를 화상으로 진행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일부에선 화상회의를 열 경우 해킹으로 영상기록이 유출될 위험이 있는 등 보안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들어 일부 반대하는 의견도 있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문제점 보완을 지시하면서 회의장을 짓기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박 대통령은 일부 회의석상에서 “세종시와 원활하게 업무수행이 돼야 하는데, 거기에는 과학기술이 뒷받침하는 것이 전제돼 있다”면서 “화상회의 등 과학기술을 최대한 이용해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시도를 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공사가 완료되면 시범가동을 거쳐 이르면 내년 1월 말부터 안전행정부, 외교부, 통일부 등 일부 부처 장관은 청와대에서,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12개 부처 장관은 세종시에 앉아 화상을 통해 국무회의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이명박 전 대통령은 청와대에 화상회의장이 없는 관계로 임기를 끝내기 직전인 지난 2월 정부서울청사에 들러 세종시와 화상 국무회의를 연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