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레저 일기장, 조커 완전 몰입...6주동안 칩거하더니

입력 2014-03-02 17: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히스레저 일기장, 서프라이즈 히스레저

(사진 = MBC 신비한TV 서프라이즈 캡쳐 )

‘서프라이즈’가 히스레저의 죽음을 다뤄 화제가 되고 있다.

2일 방송된 MBC ‘신비한TV 서프라이즈’에서는 지난 2008년 28세의 나이에 요절한 할리우드 배우 히스 레저의 자살 배경에 대해 분석했다.

2005년 영화 ‘브로크백 마운틴’으로 스타덤에 오른 히스 레저는 2007년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다크나이트’에서 신들린 조커 연기를 펼친 뒤 2008년 1월 미국 뉴욕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돼 전 세계에 충격을 줬다. 사인은 진통제, 수면제 등 여섯 가지 약물 과다 복용으로 드러났다.

‘서프라이즈’ 방송 내용에 따르면 히스 레저가 놀란 감독으로부터 출연제의를 받은 직후 히스 레저의 아내 미셸 윌리엄스는 조커 역 출연을 반대했다. 미셸 윌리엄스와 히스 레저는 ‘브로크백 마운틴’을 통해 만나 결혼에 골인했다. 당시 히스 레저는 역할에 지나치게 몰입해 우울증에서 쉽사리 빠져나오지 못했다. 이런 히스 레저의 성격을 잘 알았던 미셸 윌리엄스는 조커 역할이 그를 또 힘들게 할 것임을 예견했다.

아내의 만류에도 불구 히스 레저는 조커 역을 맡았다. 그는 6주 동안 방에서 나오지 않고 조커 캐릭터 연구에만 몰두했다. 진정한 조커가 되기 위해 조커 입장에서 일기를 쓰는 등 히스 레저는 철저하게 자기 자신을 조커로 만들어갔다.

히스레저는 조커 역에 대한 지나친 몰입으로 수면제와 신경안정제로 버티며 촬영을 이어갔다. 이 시기 미셀 윌리엄스와 히스 레저의 관계가 틀어졌고 촬영이 끝남과 동시에 두 사람은 이혼했다.

히스 레저의 죽음은 이른바 메소드연기(나 자신을 캐릭터에 맞춤)의 진수를 보여준 뒤 후유증에 빠진 사례로 첫 손 꼽힌다.

당시 그의 죽음에 대해 과거 배트맨에서 조커 역을 맡았던 잭 니콜슨은 “조커는 배우를 잡아먹는 역이다. 히스 레저의 죽음이 연기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히스레저 일기장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히스레저 일기장, 진짜 안타깝다" "히스레저 일기장, 비운의 운명이었군" "히스레저 일기장, 그녀의 아내가 안타까울 뿐이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884,000
    • -0.84%
    • 이더리움
    • 4,172,000
    • +2.81%
    • 비트코인 캐시
    • 496,600
    • -0.6%
    • 리플
    • 4,004
    • -2.25%
    • 솔라나
    • 273,500
    • -4.7%
    • 에이다
    • 1,228
    • +5.86%
    • 이오스
    • 967
    • +1.15%
    • 트론
    • 367
    • +0.55%
    • 스텔라루멘
    • 510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850
    • -0.42%
    • 체인링크
    • 29,250
    • +2.63%
    • 샌드박스
    • 605
    • +2.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