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은 13일 우면산 산사태 2차 원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1차 조사결과가 미흡하다는 여론에 따라 대한토목학회 조사와 민관합동TF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거쳐 2차 원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우면산 산사태가 인재인 것을 인정한 것인가
△(원종석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공학적인 연구에 있어 천재, 인재란 용어를 쓰지 않는다. 다만 예방조치가 부족했던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한 부분은 보고서에 있다.
-1차 2차 조사에서 강우빈도가 달라졌는데 이유는 무엇인가
△(박창근 관동대 교수)토목학회의 보고서 첫 면에 120년 빈도라고 표현했다. 이에 대해 상당한 논란이 있었다. 이는 기준시간을 9시로 기준으로 한 것. 이에 시간별로 재조사해서 달라졌다.
-박원순 시장이 최종보고서 전에 시민 대토론회 약속했는데 왜 생략했나 공청회는 있었나
△(원종석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2012 년11월 23일에 공청회는 있었다. 2013년 10월 12일 토론회에 유가족들도 참석했다. 절차는 모두 마쳤다고 본다.
-인공시설물 중 공군부대 근처에 절반 가까운 사망자가 있었는데 부대가 산사태에 영향을 미친 것이 맞나
△(원종석 서울연구원 연구위원)공군부대는 피해에 영향을 미친 것은 맞다. 다만 신속한 복구로 현장이 보전되지 못해 정량적인 분석이 곤란했다
-일부 지역은 5년 이하 기간에 한 번꼴로 내리는 비가 왔다. '일상적'인 비에 산사태가 났다고 표현해도 되는가.
△(원종석 서울연구원 연구위원)강우량을 표현할 때 통일된 기준이 아니라서 '일상적'이란 표현을 쓰지 않는다. 그래서 보통 연도로 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