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5년간 공적원조 증가율 OECD 최고

입력 2014-04-06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평균 증가율…한국 18.8%, G7 1.9%

최근 5년간 우리나라의 공적원조(ODA) 규모 증가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가운데 가장 빠르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2008~2012년 우리나라의 ODA 규모가 연평균 18.8%씩 증가해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회원국 가운데 1위를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부분 국가들이 ODA 규모를 축소한 반면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확대해 온 결과다.

ODA규모의 연평균 증가율은 한국이 가장 많았고 호주(16.3%), 스위스(10.6%), 뉴질랜드(6.6%), 영국(4.8%) 등이 뒤를 이었다. DAC 회원국 전체의 ODA 규모 연평균 증가율은 0.8%였고 미국, 영국 등 G7(주요 7개국)의 증가율도 1.9%에 머물렀다. G7 이외 국가는 연평균 -1.4%로 후퇴했다.

정부가 그동안 해 온 주요 ODA 사업으로는 △파키스탄 하수처리시설 건립 △캄보디아 이동병원 신축 △알제리 등 13개국 경제개발 계획 △베트남 등 13개국 중소기업 육성전략 자문 △케냐 수자원확보시설·다목적학교 건립 등이 있다.

기재부 조용범 행정예산과장은 “앞으로도 경제와 재정여건 등을 감안해 ODA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되 효율화 노력을 더욱 기울일 것”이라며 “평가체계 개선 등 정부부처간 협업을 통해 ODA 사업의 객관성과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기 무역전쟁 시작됐다...“삼성 등 압박·미국도 다친다”
  • "이 감성 못 잃어"…젠지 선택받은 브랜드들의 정체 [솔드아웃]
  • '나솔사계' 미스터 박, 환승이별 의혹 부인…"여자친구 잘못 없어, 나만 조롱해"
  • 카나나 공개 앞둔 카카오, AI 늦깎이 꼬리표 뗄까
  • 트럼프 열기 식어…1월 국내 가상자산 거래대금 30%↓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연 1조 ‘테이블오더’ 시장 출사표
  • SK하이닉스 시총 16조 증발…딥시크 충격 언제까지
  • 커지는 딥시크發 ‘엔비디아’ 회의론…韓 AI 팹리스에도 기회 열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1.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5,219,000
    • -0.89%
    • 이더리움
    • 4,846,000
    • -2.71%
    • 비트코인 캐시
    • 622,000
    • -4.38%
    • 리플
    • 4,473
    • -2.23%
    • 솔라나
    • 330,600
    • -5.33%
    • 에이다
    • 1,386
    • -2.67%
    • 이오스
    • 1,128
    • -7.01%
    • 트론
    • 377
    • -3.08%
    • 스텔라루멘
    • 603
    • -3.8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700
    • -4.14%
    • 체인링크
    • 35,360
    • -7.17%
    • 샌드박스
    • 740
    • -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