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기준으로 ‘빈곤’ 상태로 분류되는 1~2인 노인가구의 절반 이상은 자산 기준으로 중산층 또는 부유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가중치 미적용)한 결과, 노인 1인 가구의 39.0%, 2인 가구의 31.1%는 2022년 연간 처분가능소득이 가구원 수별 중윗
올해 3분기 가계 여윳돈을 나타내는 '흑자액'이 128만 원을 기록했다. 3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다. 소득 증가율이 소비지출 증가율을 웃돈 영향이다. 번 만큼 쓰지 않아 여윳돈이 생겼다는 의미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3분기 가구당(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 월평균 소득은 525만5000원으
농가 평균소득 5083만원…전년比 10.1%↑어가 평균소득 5478만원…전년比 3.5%↑농·어가부채 각각 전년比 18.7%·11.3%↑
지난해 농·어가 소득이 1년 전보다 올랐지만, 부채 증가 폭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 평균소득은 5082만8000원으로 전년대비
통계청,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발표저소득층 9000원↓ㆍ고소득층 227만 원↑
올해 3분기 가계 월 소득이 1년 전보다 16만 원 넘게 늘었지만 고물가 여파로 실질소득은 1만 원 정도 증가하는 데 그쳤다.
또한 소득 5분위별 가구 중 저소득 가구인 소득 하위 20%(1분위)만 소득(-9000원)이 줄었다. 이와 반대로 고소득 가구인 소득 상위 20
올해 2분기 가계 실질소득이 고물가 여파로 1년 전보다 3.9% 줄어 역대 최대 감소폭을 찍었다.
고금리에 따른 이자 비용 부담이 크게 늘면서 가구가 소비 지출과 저축 등에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 또한 역대 최대 폭으로 줄었다. 가계의 소비 여력이 떨어진 것이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3년 2분기 가계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보면 2분기 가구당
지난해 농가 소득이 4600만 원대로 내려가면서 2019년 이후 3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쌀 및 소 가격 폭락 여파로 미곡, 축산물 수입(소득)이 대폭 감소하고, 비료비, 사료비 지출 증가로 재료비가 크게 늘어난 탓이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의 가구당 총소득(연 평균)은 4615
미국 교직원연금기금(TIAA) 산하 누빈자산운용은 글로벌 탄소 배출량 저감에 초점을 맞춘 ‘지속가능금융공시규제(SFDR) 제9조 글로벌 부동산 탄소 감축 전략(Article 9 Global Real Estate Carbon Reduction strategy)’을 출시한다고 21일 밝혔다.
누빈자산운용의 ‘글로벌 부동산 탄소 감축 전략’은 탄소중립을 달
3분기 가계소득이 코로나19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증가에 힘입어 늘었지만, 소득 하위 20%인 1분위 소득은 지난해 정부에서 지원했던 재난지원금 효과가 사라지면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비지출은 6.2% 증가했지만,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소비 증가율은 0.3%에 그쳤다. 물가가 오르면서 소비에 쓴 돈이 늘었지만, 소비 자체가
코로나19가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에서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충격이 더 컸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코로나19가 2020년 취약계층 직장유지율에 미친 영향’ 연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한국복지패널을 사용해 코로나19가 2020년 취약계층의 직장유지에 미친 영향을 삼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
지난해 자산가격 상승으로 20·30세대 내 상하위 자산 격차가 35.3배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산 분위별 연간 소득 격차는 3.43배에 그쳐 부의 대물림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1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전남 여수시을)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20~30대가 가구
대출을 갚고 나면 남는 것이 없는 적자 가구에 해당하는 가구가 354만 가구에 이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노형식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8일 ‘가계 재무 상태가 적자인 가구의 특징과 개선 방향’ 보고서에서 “지난해 가계금융복지 조사 자료를 이용해 계산한 결과, 전체 2052만 가구의 17.2%인 354만 가구가 적자 가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 월평균 가구소득이 1년 전보다 6.4% 증가한 464만2000원을 기록했다. 4분기 기준으로는 10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경기 호조로 인해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모두 큰 폭으로 늘어난 가운데, 소상공인 손실보상, 방역지원금 등으로 공적이전소득도 증가한 결과다.
통계청은 24일 발표한 '2021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서 지난해
올해 가구의 부동산 등 실물자산이 14.4%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빚투(빚내서 투자)' 등으로 담보·신용대출이 증가하면서 평균 금융부채는 7.7% 늘었고, 이 중 30대의 금융부채는 14.1% 증가했다.
통계청은 16일 발표한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서 올해 3월 말 기준 전국 가구의 평균 자산이 5억253만 원, 부채는 8801만
재난지원금 지급에 힘입어 3분기 가구소득이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소비와 저축 등에 쓸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도 역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 가구와 고소득 가구 간 소득 격차는 축소됐다.
통계청은 18일 발표한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서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472만9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8.0%
20·30대에서 자산 하위 20%(1분위)와 상위 20%(5분위) 간 자산 격차가 3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20~30대가 가구주인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1849만 원으로 전년보다 2200만 원 증가했다.
가구 간 격차는 전년보다 확대됐다
안심소득제가 보편지급형 기본소득제나 현행 복지제도 확대보다 소득 격차 완화 효과가 크고 노동시장과 국내총생산(GDP)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적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안심소득제란 기준소득 이하 국민을 대상으로 기준소득과 경상소득과의 차액의 50%를 지원하는 제도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5일 '안심소득제의 비용과 경제적 효과' 보고
지원 1만원당 280원 소비 증가전국민 기본소득 국가 아직 없어
기본소득의 효과는 가구 소득구간별 한계소비성향(추가 소득에서 소비되는 금액의 비율)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2020년)를 활용한 분석에서 이 값은 가구 연 소득 7000만 원 미만일 때 가장 크고, 2억 원을 넘어서면 사실상 소멸했다.
◇소득 지
이번 주(5월 17~21일)에는 가계 소득과 지출, 분배지표 등 전반적인 살림살이 형편을 짐작할 수 있는 통계가 나온다. 또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인 생산자물가지수도 발표된다.
통계청은 20일(목)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공개한다. 1분기는 코로나19 3차 확산이 잦아들면서 경기가 반등한 시기인 만큼 국민 생활도 일
3분의 1은 실업 등 고용충격, 3분의 2는 일시휴직 등 소득감소 탓자영업 및 유자녀·여성가구 소득 감소가 더 커전국민재난지원금 등이 소득감소 저지..소득별 불평등 고착 대응필요
저소득층인 소득 1분위(소득 하위 20%) 가구 소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20% 가까이 급감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또, 이들 계층의 소득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