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이 내년도 공립학교 교사를 총 345명 선발할 예정이다. 특히 초등교사는 ‘늘봄지원실장’ 배치 인원을 고려해 265명을 선발할 예정으로, 올해보다 2.4배 가량 늘었다.
11일 서울시교육청은 이 같은 내용의 ‘2025학년도 공립(국·사립) 유치원·초등학교·특수학교(유치원·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시행계획’을 교육청 누리집을 통해 공
서울의 한 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들이 간호사 갑질 의혹 교수의 전임교원 채용과 관련해 재의를 요구한다는 입장문을 17일 발표했다.
이들은 “이번 A병원 신생아중환자실 교수의 갑질 의혹 및 전임교원 채용과 관련된 일련의 사태에 대해 동료 교수로 무한한 책임을 통감한다”라며 간호사에 대한 갑질 의혹에 휩싸인 의사의 전임교원 채용에 반대했다.
이번에
학생 수 감소가 이어지는 가운데, 교육 당국이 유치원과 초·중·고교 교사 신규 임용 규모를 크게 줄였다.
교육부는 9일 각 교육청이 홈페이지에 공고하는 2024학년도 신규 교사 선발 예정 인원이 총 8939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초중등교사 외에 유치원은 297명, 특수교육 680명, 보건 341명, 영양 246명, 사서 75명, 전문 상담 285
정부가 교원 신규 채용을 점차 줄이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내년도 교대 정원은 일단 동결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12일 "전국 10개 교대, 3개 초등교육과에 2024학년도 정원 감축 의향을 확인한 결과 모든 교대·초등교육과가 동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며 "최종 승인 절차를 거쳐 각 학교에 2024학년도 정원을 확정해 통보한다"고 밝혔다.
앞서 교육부는
교사노조·교원단체 등은 24일 정부가 2027년까지 초·중·고교 신규 교원 선발 규모를 지금보다 30%가량 줄이는 교원수급계획을 발표하자 일제히 반발했다. 교육부는 학령인구 급감을 고려해 교원 수 감축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전국 10개 교대 학생회 모임인 전국교육대학생연합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계획대로 교사를
직접 등교 대신 전면 원격수업을 선택해 운영할 수 있도록 한 탄력적 학사운영 방식이 당분간 유지될 예정이다.
교육부는 1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온라인 새 학기 오미크론 대응 추진 현황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다만, 이달 11일로 예정된 새 학기 적응주간은 종료키로 했다.
앞서 교육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종인
한국전력은 22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학교법인 주최로 연린 2021년도 제1차 이사회에서 이 대학의 영문 교명을 'KENTECH(켄텍)'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켄텍은 K(orea)+EN(ergy)+TECH(nology)의 조합어로 국가 에너지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중심 지향 대학인 한국에너지공대의 정체성을 직관적으로 표현했다.
한전은 켄텍이란 명칭이
교육부가 학령인구 감소와 맞물려 교원 채용 규모를 더 줄이는 방안을 내놓으면서 교원단체를 비롯한 교육계의 반발이 커질 전망이다.
교육부는 23일 '미래교육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교원수급정책 추진 계획'을 제10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했다.
이는 2018년에 내놓았던 기존 교원수급계획을 조정하기로 하면서 마련된 계획이다. 그런데 2019년
이낙연 국무총리는 14일 8ㆍ2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 보완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 9일부터 사흘간 공식 휴가에 들어간 이 총리는 전일(13일)부터 집무실로 출근해 국정을 챙기고 있다.
이 총리는 이날 열린 총리실 간부회의에서 “행정은 두 가지를 동시에 요구하는데, 하나는 ‘대관’이고 또 하나는 ‘소찰’”이라며 “‘크게 보고 작은 부분도
김명수 인사청문회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가 9일 열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황당 발언으로 빈축을 사고 있다.
이날 김명수 후보자는 논문표절을 비롯한 각종 의혹에 대해 추궁을 당했다.
특히 그는 논문표절 문제와 관련해 "저는 평생 교육학자이자 교육자로 살아오면서 오로지 교육 하나만을 바라보고 살아왔다고 자부한다"면서 "당
새정치민주연합 유은혜 의원은 논문표절 의혹을 받고 있는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교수 승진심사 논문 4편에서 모두 연구부정행위가 확인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날 유 의원이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김 후보자는 그동안 유일하게 논문 표절여부가 확인되지 않았던 ‘초·중등 교원선발 및 임용에 관한 고찰’ 역시 다른 사람의 논문을 최소 3편 이
정부가 추진중인 ’정규직 시간제 교사’ 도입을 두고 교육계 반발이 일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24일 전국 유치원ㆍ초ㆍ중ㆍ고 교원 415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벌인 결과 82.7%(3437명)가 제도 도입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부가 시간선택제 교사 제도를 도입할 경우, 범국민 서명운동을 이어갈 뜻을 밝혔다.
시간제 교사 도입에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2012년 입학사정관제 지원 사업’에 선정된 66개 대학을 발표했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입학사정관제 운영 지원 대학 66개교 363억원, 입학사정관 연수·훈련 프로그램 지원 대학 8개교 15억원 등 총 391억원(대교협 사업관리비 및 현장정착지원비 13억원 포함)의 예산이 지원된다.
교과부와 대교협은 교수·입학
입학사정관제를 운영하는 60개 대학에 총 391억원이 지원된다. 이는 지난해 351억원에서 40억원 늘어난 금액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올해 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에 총 391억원을 투입해 60개의 대학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22일 밝혔다.
입학사정관제를 운영하는 대학에 입학사정관 채용을 위한 인건비, 운영비 등을 지원하며 일반대학은 선도
경기도교육청이 핵심정책으로 추진하고 잇는 혁신교육지구로 지정 받으려는 시군 자치단체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17일 도교육청과 시군에 따르면 지난 8일부터 15일까지 시군 자치단체와 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혁신교육지구 지정 신청을 받은 결과 전체 31개 시군 자치단체 중 절반에 가까운 16개 시군이 신청했다.
신청한 시군은 △광명시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