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검사를 대폭 뜯어고치기로 한 금융감독원이 수시테마검사를 확대 실시한다. 사모펀드 사태와 같은 대규모 금융소비자 피해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금융상품의 전 단계에서 정보를 입수·분석하는 시스템도 함께 구축하기로 했다.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9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열린 시중은행장과의 간담회를 통해 "금융감독 당국의 재량적 판단과 결정이 법과 원
“은행들만 중징계를 받고 정작 감시·감독의 책임이 있는 당국은 아무런 책임을 묻지 않았다.”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가 판매 은행 최고경영자(CEO) 중징계로 마무리된 가운데 금융감독원의 책임은 찾아볼 수 없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하소연이다.
윤석헌 금감원장은 3일 우리·하나은행에 대한 제재심의위원회 심의 결과를 그대로 수용
“작전에 실패한 지휘관은 용서할 수 있어도, 경계에 실패한 지휘관은 용서할 수 없다.”
6·25전쟁의 전세를 뒤바꾼 인천상륙작전의 영웅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이 이렇게 말했다. 군사(軍史)에 길이 남을 명언이다. 갑자기 이 말이 떠오른 것은 이번 파생결합펀드(DLF) 불안전 판매 논란에서 책임 소재를 정리하는 과정에서다.
앞서 DLF 사태 책임소재
최근에 일부 은행에서 판매한 파생결합상품(DLF)의 녹인(Knock-in)으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이 피해를 입었다. 그 피해자들의 면면을 보면 항상 안타까운 사연들뿐이다. 10년 전 세칭 KIKO사태부터 시작해서 동양증권 사태에 이르기까지 금융투자상품의 투자를 둘러싼 잔인한 역사는 늘 되풀이되는 셈이다.
자본시장이나 주식시장에서 회사채나 주가 등락에
현재 은행법은 산업자본(비금융 주력자)이 금융회사 지분을 4%(의결권 없이 10%) 이상 소유할 수 없도록 한다. 대기업이 은행을 사금고처럼 쓰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은행법 적용을 받는 인터넷은행도 그 대상이다. 이 때문에 은산분리 규제에 막혀 인터넷은행이 애초 기대했던 성장을 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대기업 KT를 2대 주주로 둔 케이뱅크는
국내 주요 증권사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한 해 실적과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게 증가한 주식거래 대금과 함께 채권 수익, 기업금융부문 호조 등이 배경인 것으로 분석된다.
12일 금융투자업계와 FN가이드 등에 따르면 현대증권과 메리츠종금, 대우증권, 삼성증권 등 1분기 실적을 발표한 4개사의 영업이익은 총 447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고객을 가장해 금융상품 판매 과정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는 ‘미스터리 쇼핑’ 제도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불완전판매 예방과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방안으로 제도 자체는 긍정적이지만 추진과정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금감원이 조사를 의뢰한 업체와 인원이 한정된 상황에서 일부 업체에 의존함에 따라 조사 정보가 미리 유출되는
동양증권 피해자 여성이 자살소동을 벌이며 투자자 선처를 호소했다.
1일 오후 1시께 서울중구 을지로 2가 동양투자금융빌딩에서 50대 여성이 동양증권 사태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며 투신자살 소동을 벌였다.
소동이 벌어진 후 119 구급대가 도착, 여성을 구조했다.
동양사태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는“이 여성은 그동안 청와대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인 투자자
금융감독원이 파이시티에 대해 특별 검사를 착수한데 이어 관련 펀드를 판매한 증권사에 대한 특별검사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25일 금감원에 따르면 불완전판매 의혹이 제기된다면 판매 증권사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기는 동양증권 사태가 어느정도 마무리된 시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감원은 지난 7일부터 우리은행의 파이시티 불완전
금융소비자원은 8일 동양증권사태 관련 국민검사 2호를 청구한다고 밝혔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이날 오전 10시 금융감독원 1층 민원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금융감독원에 접수하려는 국민검사청구 2호 신청자가 이틀 만에 3000명이 넘어섰다”며 “물리적으로 접수자 3000명의 청구인 명단을 작성하는 것도 어려워 우선 600명 정도 명단으로 국민검사
동양증권의 기업어음(CP) 불완전 판매 혐의와 관련해 피해자대책위원회가 구성된다.
금융소비자단체에는 1천여건이 넘는 피해 사례가 접수되는 등 동양증권 CP 사태가 과거 저축은행 후순위채 파동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소비자원은 동양증권 CP 피해 접수를 시작한 지 사흘만에 1천여명이 총 500억원 이상 피해를 봤다는 신
한국금융투자협회는 25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동양그룹의 자금난 등과 관련해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투자자 예탁자산의 안정성 논란에 대해 투자자 예탁자산은 안전하게 보관·관리되고 있다며 투자자들의 신중한 대응을 당부했다.
이정수 금투협 증권파생서비스본부장은 “투자자들의 우려와 달리 투자자 예탁금은 별도예치제도와 예금보험제도를 통해 이중으로 안전하게
동양그룹이 유동성 위기를 겪으며 계열사인 동양증권에도 인출 고객이 몰리는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경쟁사들이 '네거티브 마케팅'을 시작해 논란이 됐지만 결국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있다.
때문에 금융감독원 등 감독당국까지 진화에 나서는 상황에서 일부 증권사들은 자사의 블로그 등에 ‘자신들의 상품은 안전하다’며 갈아탈 것을 종용하는 뉘앙스의 게시물을 올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