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업계가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환자 치료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디지털 덴티스트리’가 자리잡으면서, 보철물 제작 및 치과의료기기 기업들이 앞다퉈 사업을 확장 중이다.
14일 치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임플란트 기업들이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신사업 강화에 나섰다.
디지털 덴티스트리는 치과에서 환자 진료와 치료에 사용되는 기기 및 장비를
디지털 치과 의료기기 기업 레이는 9월 23일부터 26일까지 나흘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치과기자재 박람회 ‘덴탈 엑스포 2024’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7일 밝혔다.
러시아 및 독립국가연합(CIS) 지역 최대 치과기자재 박람회로 올해로 56회인 ‘덴탈 엑스포 2024’는 전세계 400여 개 업체가 참가, 2만 명 이상의 참관객이 행사장을 찾았다.
오스템임플란트는 ‘디지털 치과’ 실현을 위해 소프트웨어 분야를 한층 강화한다고 23일 밝혔다.
회사는 치과 진료 및 치료의 디지털화를 의미하는 ‘디지털 덴티스트리’를 구현해가는 과정에서 구강스캐너, CT, 밀링기계, 3D프린터와 같은 하드웨어적 요소는 물론 치과 운영의 효율화까지 이끌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확산에도 역량을 모으기로 했다.
치과 소프트웨
9월 2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스텔라비전과 피에로컴퍼니, 윤회, 이마고웍스 등이다.
◇스텔라비전
인공위성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기업 스텔라비전이 프리시리즈A 투자를 마무리했다.
스텔라비전은 이번 투자 라운드에서 총 37억 원의 모험자본을 유치했다. 하나벤처스가 리딩 투자사로 나서며 10억 원을 투자했고 인라이트벤처스, 로우파트너스
오스템임플란트는 27일과 28일 양 일에 걸쳐 서울 강서구 마곡 중앙연구소 사옥과 강남구 코엑스(COEX)에서 ‘2024 오스템월드미팅 서울(2024 OSSTEM WORLD MEETING SEOUL)’을 진행했다고 29일 밝혔다.
오스템임플란트는 매년 당대의 최신 치과 임상 트렌드와 치의학 분야의 학술적 성과를 살피는 ‘오스템미팅’과 ‘오스템월드미팅’을
4월 2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칼만과 베이콘, 글라우드, 딥퓨전에이아이 등이다.
△칼만
원자력발전소 설비에 대한 모니터링과 유지보수 업무를 무인로봇으로 대체하는 로봇솔루션 스타트업 칼만이 더인벤션랩으로부터 후속투자 유치를 마무리했다. 총 투자금액은 5억 원으로, 2023년 9월 4억5000만 원 첫 투자 후 총 9억5000만 원의 투자를
오스템임플란트가 사상 최대 연매출을 재차 경신했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연결기준 2023년 매출액 1조2083억 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4.7% 증가했다고 22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428억 원으로 3.5% 늘었다.
회사 관계자는 “세계 경제 둔화와 함께 주력 시장인 중국의 전격적인 VBP(중앙 집중식 대량 구매) 제도 시행, 장기전으로
오스템임플란트가 14일 주한 탄자니아연합국(이하 ‘탄자니아’) 대사와 경제보좌관을 본사에 초청해 경제협력을 논의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엄태관 오스템임플란트 대표이사와 토골라니 에드리스 마부라 주한 탄자니아 대사, 존 피엠 마수카 탄자니아 경제보좌관이 참석했으며, 탄자니아 치과 산업 현황과 향후 협력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탄자니아
오스템임플란트가 일본 치과의사 130여 명을 본사로 초청해 임상교육과 제품 체험프로그램을 제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일본 치과의사 초청 행사는 22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됐다. 오스템임플란트 일본법인의 설명에 따르면, 일본 전국 각 지역에서 참여한 치과의사 130여 명은 행사 첫날 오스템임플란트 본사 대강당에서 진행된 ‘오스템임플란트 원가이드 시스템을
오스템임플란트가 14일 코스닥 시장에서 상장 폐지된다. 2007년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지 16년여 만이다.
오스템임플란트는 1일 공시를 통해 14일 코스닥시장에서 상장 폐지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스템임플란트의 최대주주인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와 유니슨캐피탈코리아 컨소시엄(이하 덴티스트리인베스트먼트) 은 소액 주주들이 보유한 지분 3.91%를
오스템임플란트가 2026년 글로벌 매출 2조 원을 목표로 해외법인 신설 등 영업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는 가운데, 자사 중동법인의 중동·아프리카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섰다고 27일 밝혔다.
오스템임플란트 중동법인은 이달 16일과 17일, 아프리카 탄자니아와 튀니지의 치과대학 전공생과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임상교육을 진행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오스템임플란트가 올해 1분기 호실적을 달성했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연결기준 1분기 매출액 2859억 원, 영업이익 722억 원을 기록했다고 4일 공시했다. 전년동기 대비 각각 22.1%, 41.2% 증가한 규모다.
회사는 해외 신흥시장에서 뛰어난 성과를 냈다. 임플란트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는 튀르키예, 인도 등이 대표적이다.
주력 시장 중 하나인
라온피플 인공지능(AI) 의료전문 자회사 라온메디가 독일에서 열리는 세계최대 치과 전시회(IDS 2023)에 참가해 인공지능 덴탈 소프트웨어 ‘얼라인 스튜디오’를 최초로 공개한다고 14일 밝혔다.
‘얼라인 스튜디오’는 실제 영상데이터 기반으로 치아와 잇몸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기능과 함께 자동 분석을 통해 치료계획 수립 시 직관적인 판단이 가능하도록 제
경희대학교치과병원이 내년 상반기 플랫품 구축과 시범 운영을 목표로 미국 오스티오이드와 ‘인공지능 3D 통합영산분석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경희대학교치과병원은 최근 세계적인 3D 렌더링 소프트웨어 개발기업 오스티오이드(Osteoid)와 국내 최초 ‘인공지능 3D 통합영상분석 플랫폼인 트위맥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
임플란트 기반 디지털 덴티스트리 기업 덴티스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유럽법인 설립에 대한 모든 절차를 마치고 본격적인 영업을 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덴티스는 지난 10년 여 동안 협력관계를 이어온 GT메디컬과 공동 지분 투자를 통한 합자법인형태로 유럽법인을 설립했다. GT메디컬은 스페인 전역에 2000곳 이상의 고객 네트워크를 보유한 딜러사이다.
앞으로
“국내 1위, 중국 시장 1위 임플란트 기업이라는 타이틀을 넘어 글로벌 디지털 치과 수술 1위 기업이 되겠다.”
국내 1위 임플란트 제조기업 오스템임플란트의 엄태관 대표이사는 27일 서울시 마곡 오스템임플란트 트윈타워에서 가진 이투데이와 인터뷰에서 “올해 중점 과제는 ‘디지털덴티스트리 분야의 리더‘로서 입지를 공고히 하는 것”이라며 “디지털 분야의 시장
중국 임플란트 시장이 매년 20% 이상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오스템임플란트는 중국 지역에 직판 중심의 유통망을 갖추고 있어 향후 중국 시장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하이투자증권은 30일 오스템임플란트에 대한 '매수'의견을 제시하고 목표주가를 7만 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오스템임플란트의 중국지역 매출 추이를 보면
디지털 선도기업 오스템임플란트가 최근 치과용 구강스캐너 리딩 업체인 3Shape 社와 글로벌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오스템임플란트는 3Shape社의 구강스캐너 TRIOS와 CAD SW 의 글로벌 판권을 획득하게 되었으며, 향후 관련 제품 라인업을 더욱 확대해 글로벌 디지털 덴티스트리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
레이가 수출 고성장세에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시장과 치료 솔루션 비중이 커지면서 수익성도 크게 개선된 것으로 분석된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레이는 2019년 연결기준 매출액(잠정)은 731억 원으로 전년 대비 42% 증가하면서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13% 오른 129억 원, 당
오스템임플란트가 치과용 전자차트 ‘OneClick(원클릭)’을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원클릭은 ‘클릭 한 번으로 만들어가는 디지털 치과’를 모토로 개발된 치과용 전자차트 소프트웨어다.
기존 국내 치과 보험청구 및 전자차트 점유율 1위에 올라 있는 자사 소프트웨어 ‘두번에’와 ‘하나로’의 장점을 하나로 모아 디지털 치과진료에 필요한 다양한 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