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기준으로 ‘빈곤’ 상태로 분류되는 1~2인 노인가구의 절반 이상은 자산 기준으로 중산층 또는 부유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가중치 미적용)한 결과, 노인 1인 가구의 39.0%, 2인 가구의 31.1%는 2022년 연간 처분가능소득이 가구원 수별 중윗
한국의 노인빈곤은 주로 공적연금 부재 또는 짧은 가입기간, 경제활동 중단, 실물자산에 몰린 가구자산 등에 기인한다. 이런 문제들에 비해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은 노인빈곤과 관련성이 낮다.
노인빈곤율은 일반적으로 처분가능소득 기준 상대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로 계산한다. 본지가 9일 통계청 ‘2024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집계한
상대적 빈곤층에 해당하는 노인(65세 이상) 1인 가구 중 절반은 공적연금 미수급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인상으로는 노인빈곤율 개선에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본지가 9일 통계청의 ‘2024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노인 가구의 가구원 수별 빈곤율을 계산한 결과, 1인 가구의 40.6%, 2
최근 5년간 외식 물가가 23.1%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식류와 식사류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 외식 물가 상승은 1인 가구에 상대적으로 충격이 크다.
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 중 외식 품목은 5년 전인 2019년 12월 대비 23.1% 상승했다.
품목별 상승률은 편차가 컸다. 해물찜(1
통계청, '2024 가계금융복지조사' 공표 당일 아침 돌연 취소장기요양보험료 산정 과정서 착오 발생..."통렬히 반성한다""미진한 부분, 크로스체크 방안 마련 등 좀 더 다듬어가겠다"
통계청이 5일 공표 예정이었던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당일 아침 돌연 취소했다. 산식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장기요양요율에 퍼센트(%)를 제외한 값을 넣으면서 수치
합계출산율 회복에도 비수도권 출생아 수는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10여 년간 지속한 가임여성 유출로 산모가 줄어든 결과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 합계출산율은 0.76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0.05명 증가했다. 시·도별로 강원(-0.01명), 제주(-0.05명)를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합계출산율이 늘었다. 특히
미혼·만혼화 등에 따른 30대 여성 취업자 증가에도 비수도권의 30대 여성 취업자는 정체되거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여성의 수도권 쏠림으로 30대 여성 자체가 줄어든 탓이다.
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체 취업자는 전년 동월보다 14만6000명 증가했다. 이 중 74.7%(10만9000명)는 30대 여성 취업
세종시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이전기관 특별공급(특공)’ 부활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전기관 특공은 ‘공무원 특혜’ 논란과 시민들의 요구로 2021년 7월 폐지됐다
최근 ‘세종시닷컴’에서는 이전기관 특공 부활을 놓고 가입자들 간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세종시닷컴은 가입자가 34만1000여 명에 달하는 세종시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다.
미국, 중국, 베트남, 캐나다, 영국, 호주, 캄보디아, 일본….
혼인통계상 한국 여성들과 결혼하는 외국인들의 국적 순위다. 이 순위가 결정되는 가장 큰 변수는 다름 아닌 '한국 여성'의 '출신 국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24일 통계청 인구동향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2년 한국인 아내와 외국인 남편 간 혼인은 4659건이다. 기타
지난달 비자발적 실직자가 8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면서 120만 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 침체 영향으로 내수와 밀접한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 크게 늘었다.
23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통계청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비자발적 실직자는 119만1873명을 기록했다. 비자발적
여성 임금근로자가 올해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섰다. 50대 이상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늘어난 영향이다.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8월 월평균 여성 임금근로자는 1015만 2000명으로 통계가 작성된 1963년 이후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돌파했다. 여성 임금근로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기인 2020년 전후 가
6~7급 국가공무원들의 ‘공직 이탈’이 가속화하고 있다.
6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지난해 자발적으로 퇴직한(의원면직) 일반직 국가공무원 중 6~7급은 2130명이다. 이는 지난해 의원면직한 전체 일반직 국가공무원(5564명)의 37.7%다. 직급별 의원면직자는 6급 1251명, 7급은 879명이다. 2017년 1057명(6급 550명, 7급 507명
제조업과 도소매업, 건설업,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의 취업자 고령화가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업황 악화와 더불어 청년층의 취업수요가 감소한 영향으로 보인다.
본지가 3일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전체 취업자의 평균 연령은 47.7세로 2021년 상반기(46.8세)보다 0.9세 높아졌다.
취업자 연령 변화
6개월↑ 장기실업 11.3만 명…1999년 이후 최고'1년 미만 퇴직' 4명 중 1명 "보수 등 여건 불만족"
실업자 5명 중 1명은 반년 이상 구직 활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8월 기준 실업자 56만4000명 중 구직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사람은 11만3000명(20.0%)으로 집계됐다. 이는 1999년
2016년 이후 급격한 합계출산율 감소의 주된 원인은 혼인 지연·감소다.
본지가 22일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초혼 여성 중 30세 이상 비중은 2000년 10.5%에 불과했으나 2005년 20.5%, 2010년 32.3%, 2015년 45.3%, 2020년 50.1%로 상승했다. 2022년에는 55.6%까지 높아졌다. 200
2금융권에서 돈을 빌렸지만, 이자를 갚지 못하고 있는 자영업자들이 크게 늘고 있다. 연체율이 9년 새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고 10명 중 6명은 다중채무자인 것으로 드러나면서 자영업자가 한계 위기에 처했다.
22일 한국은행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양부남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개인사업자대출 세부 업권별 연체율'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2
야권이 육아휴직급여 상한선 폐지를 추진한다.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한정애 의원 대표발의로 상한선 없이 통상임금의 80%를 육아휴직급여로 지급하는 내용의 ‘고용보험법’ 개정안을 준비 중이다. 현행법상 육아휴직급여는 시행령으로 정하게 돼 있다. 시행령에 따른 급여 상·하한선은 각각 150만 원, 70만 원이다. 준비 중인 개정안은 급여액에
저소득 남성 10명 중 3명은 50세까지 혼인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17일 통계청 ‘2023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지난해 생애미혼율을 추산한 결과 이 같은 값이 나왔다. 생애미혼율은 50세까지 결혼한 적 없는 사람의 비율로, 일반적으로 45~49세 미혼율과 50~54세 미혼율의 산출 평균으로 계산한다.
지난
고용원 없는 ‘나 홀로 자영업자’가 증발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실제로는 상당수가 특수형태근로종사자(특수고용직) 등 남의 사업장에서 소득을 얻는 ‘반 자영업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16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25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3만5000명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