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그룹은 12일 허성 코오롱ENP 대표이사(부사장)를 코오롱인더스트리 제조부문 대표(사장)로 승진 내정하는 등 총 30명의 사장단ㆍ임원 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김영범 코오롱인더스트리 제조부문 대표를 코오롱ENP 대표에, 방민수 코오롱글로텍 대표(부사장)를 코오롱인더스트리 제조부문 부사장에 각각 내정해 제조ㆍ기술 사업 간 시너지 창출을 도모한다.
고려대학교의료원은 코오롱FnC, 코오롱인더스트리 미래기술원과 ESG 경영 및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MOU 체결 행사는 전날 윤을식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을 비롯한 고대의료원 주요 보직자와 코오롱FnC 유석진 사장, 한성수 미래기술원장 등 코오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강남구에 있는 코오롱FnC 사
고려대학교의료원이 병원계 최초로 폐기될 유니폼을 수거해 새 근무복으로 재탄생 시키는 일명 ‘PET 화학재생’ 사업을 실시한다고 16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고려대의료원이 지속가능경영의 일환으로 플라스틱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의 심각성을 알리고 의류폐기물이 가져오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취지로 만들어졌다.
이에 따라 고려대의료원은 안암·구로·안산병원 등
코오롱인더스트리 미래기술원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과 '유전자치료제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산학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유전자치료제 기술 공동연구 △전문 인력 양성 및 학술 정보 교류 △맞춤형 교육 자문 등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미래기술원은 이번 협업으로 바이오의약품 기술 확
코오롱인더스트리 미래기술원은 지난 17일 양산부산대병원과 유전자치료제 개발 관련, 상호 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코오롱인더스트리 미래기술원과 양산부산대병원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유전자치료제 개발 관련 공동연구 기획 및 추진 △연구시설 및 장비 공동 활용 △전문 인력 및 학술 정보의 상호 교류 등을 진행한
탄소소재 민관협의체가 국내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개선안을 도출했다. 이번 개선안이 미래 고부가 산업의 핵심인 탄소소재 업계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22일 이투데이 취재 결과 ‘탄소소재 융복합 얼라이언스’는 최근 탄소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제 및 제도의 개선안 14건을 도출했다.
이번에 얼라이언스가 도출한 개선안에는 △필터제품의 활
코오롱인더스트리는 10일 고양시와 업무협약을 맺고 관내에서 버려지는 생활 속 폐섬유류들을 원료로 활용해 친환경 플라스틱(PET) 생산에 활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폐섬유류란 의류제품 외에 가구나 인테리어 등 생활용품에서 버려지는 화학섬유로 만든 제품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지난해 12월 고양시 일부 공동주택을 선별해 폐섬유류 배출량 조사와 재생공법
'34세 최연소', '역대 최대인원 승진', '제철소 출신 최초 발탁'
올해 국내 주요 기업들의 연말인사에서 두드러진 여성 임원들의 승진 키워드다. 그 어느 때보다 힘든 기업들이 조직슬림화 등 구조조정에 초점을 맞춘 상황에서도 여성들이 주요 경영진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성과주의 원칙에 따라 유능하면서도
코오롱인더스트리는 19일 코오롱 원앤온리타워에서 한국의류섬유재활용협회와 친환경 공법을 기반으로 한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개발과 관련 사업 추진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코오롱인더스트리의 폴리에스테르(PET) 재생기술은 재활용 원료의 종류나 오염도와 무관하게 초고순도 PET 원료 수준까지 분해하는 기술이다.
재생한 PET를 어떤
김영범 코오롱플라스틱 대표이사 부사장이 코오롱글로텍을 이끈다.
코오롱그룹은 2020년도 정기 임원인사를 통해 총 36명의 승진 및 전보 인사를 단행했다고 4일 밝혔다.
김영범 대표가 코오롱글로텍 대표이사로 자리를 옮기면서 코오롱플라스틱의 새로운 대표이사는 같은 회사의 방민수 전무가 맡게 됐다. 코오롱머티리얼 대표이사에는 코오롱인더스트리 김철수 전
코오롱그룹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미래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다양한 사업에서 착실한 준비를 이어오고 있다. 기존 사업들은 증설 등을 통해 시장을 계속 주도해 나가고 신규 투자 사업들은 올해부터 본격적인 성과를 내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코오롱생명과학이 성공적으로 국내 출시한 세계 최초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인보사’가 시장에 안
올해 서울 및 수도권 오피스시장에 역대 최대 수준의 물량이 쏟아져 대규모 공실 우려가 지속될 전망이다.
3일 신영에셋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 서울과 수도권에는 215만㎡ 규모의 오피스가 공급된다. 지난해(183만5007㎡)보다 17% 많은 역대 최대 공급량이다. CBD(도심권)에 14만㎡를 웃도는 센트로폴리스가 들어서고, GBD(강남권)에 삼성생명
국내 1위 통신사인 SK텔레콤의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맡았던 최진성 종합기술원장이 글로벌 통신사 도이치텔레콤 부사장으로 새 둥지를 튼다.
3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21일 SK텔레콤을 떠난 최 전 원장은 도이체텔레콤의 기술전략 및 연구개발(R&D) 담당 부사장을 맡아 독일 본에 있는 본사에서 근무한다.
도이체텔레콤은 유럽의 대형 통신사로 미
SK텔레콤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최진성 종합기술원장이 회사를 떠난다. SK텔레콤 미래 먹거리를 책임지는 핵심 인물의 갑작스런 퇴사에 관련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1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최 원장은 수주 전 개인적인 사유를 이유로 회사에 사의를 전달했다. 최 원장은 이번 주까지만 근무한다. 구체적인 사유와 추후 행보에 대해서는 최 원장과 회사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은 각자의 지혜와 힘을 모아 위기를 뛰어넘자고 강조했다. 그가 제시한 올해의 경영지침은 바로 ‘허들링(Huddling&Hurdling) 2017’이다. 어두운 국내외 경제 상황 속에서도 ‘모든 임직원이 신뢰를 바탕으로 똘똘 뭉쳐 하나 됨을 실천하는 허들링으로, 우리 앞에 놓인 장애물을 뛰어넘는 허들링에 성공하자’는 의미다.
코오롱
LG유플러스가 기본 성능은 물론 다양한 디바이스들과 콘텐츠를 활용한 고객관점의 차별화된 인공지능(AI) 플랫폼을 하반기 내 출시를 목표로 미래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텔레콤, KT 등 경쟁사들은 이미 관련 서비스를 몇개월 앞서 출시하고 있지만 LG유플러스는 국내외 출시된 서비스들의 장단점을 충분히 검토해 차별화된 AI 서비스를 하고자 출시가 다소
코오롱그룹은 커넥트(Connect)와 퓨처(Future)를 연결해 만든 신조어 커넥처(Connecture)를 올해의 경영지침으로 정했다. 미래의 변화를 주도하기 위해서는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 협업하면서, 초연결 시대 혁신기술을 사업에 적용해 실행한다면 미래와 성공적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코오롱은 주력사업인 제조업 부문에서는 기존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