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략작물 중 하나인 밀 재배 소득이 13만 원으로 뚝 떨어지면서 51개 농산물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올해 밀 재배면적은 1만 헥타르(ha) 아래로 내려왔다.
쌀 재배면적 축소 등을 위한 정부의 전략작물직불금 정책 효과가 무색해진 셈이다.
3일 농촌진흥청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생산된 밀 소득(총수입-경영비)는 10아르(a) 당 13만
밀 품종 갱신으로 197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미국의 노만 보로그(Norman Borlaug)박사를 기억한다. 농학자이자 식물 병리학자인 노만 보로그 박사는 새로운 밀 품종인 '난쟁이 밀(Dwarf wheat)'을 개발했다. 기존 밀 육종 이론을 넘어서 개발한 새로운 난장이 밀은 병해충에 저항성이 강하고 비바람과 흔들림에도 잘 견뎠다.
인도, 파키스
밀과 가루쌀 등 이모작을 지원하는 전략작물직불제를 비롯해 밀산업 육성법 등 정책 영향으로 올해 밀 재배면적이 12년 만에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재배면적이 늘어나면서 자급률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7일 통계청의 '2023년 맥류·봄감자·사과·배 재배면적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밀 재배면적은 1만1600㏊로 전년 8259㏊에서 40.5%가 증가하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식량 사업을 본격화하고 '친환경 종합사업회사'로 도약하기 위해 나섰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달 발표한 성장전략의 일환으로 식량 사업 세부계획을 수립하고, ‘세계 10위권 메이저 식량 기업’으로 성장하기로 했다고 4일 밝혔다.
이를 위해 △글로벌 원곡 조달체계 확보 △안정적 식량 밸류체인 구축 △Ag-Tech 신사업 육성 등 3대 전
올해 북한의 식량작물 생산량이 감소할 것으로 보이면서 내년 식량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내후년 생산량은 증가할 것이란 관측이다.
농촌진흥청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이 최근 각각 발표한 '2022년 북한 식량작물 생산량 추정 결과'와 '2022년 북한의 식량 생산과 전망' 보고서를 보면 우선 올해 북한 식량작물 생산량은 총 4
정부가 국산 밀 품질 향상과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밀 전문 생산단지를 확대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3년도 국산 밀 전문 생산단지 74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2020년부터 밀 자급률을 높이고 국산 밀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밀 전문 생산단지를 육성하고 있다.
밀 전문 생산단지는 2020년 27곳에서 지난해에는 2배 수준인 51곳
미국 주요 곡물 생산지역에 극심한 가뭄이 이어지면서 농산물 가격이 연일 치솟고 있다.
2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현재 밀 등 미국 주요 작물의 63%가 흉작 환경에 놓여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6%에서 급증한 수치다. 원인은 극심한 가뭄이 손꼽힌다. 가뭄모니터에 따르면 미국 대표 곡물 재배지역인 노스다코타·사우스다코타·
수해 지역 허난성, 중국 2대 돼지 생산지올해 아프리카 돼지 열병 11건 보고전문가 “오염된 물 접촉한 돼지 감염 우려”
중국에서 최악의 홍수가 발생한 가운데 돼지 열병 바이러스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허난성 일대에서 벌어진 대규모 홍수 피해가 해당 지역 돼지 농장에 타격을 줄 수 있고 잠재적으로
이상기후로 주요 밀 산지인 미국과 캐나다의 작황이 나빠지면서 가격 상승이 우려되고 있다. 밀 자급률이 1%대인 우리나라는 밀 산업 육성에 나섰지만 목표 달성조차 힘든 상황이다.
미국소맥협회에 따르면 최근 백맥 현물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62%, 강맥은 40% 치솟았다. 선물가격도 지난달 기준 각각 34%, 52% 올랐다. 미국 농무부는 밀 재
CJ푸드빌의 임직원들이 경상남도 진주시 소재 ‘앉은뱅이 밀’ 재배 농가를 찾아 농번기 봉사활동을 실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봉사활동을 실시한 농가는 CJ푸드빌과 지난 2014년 첫 연을 맺고, 한식패밀리레스토랑 계절밥상에 앉은뱅이 밀을 식재료로 공급하는 곳이어서 의미를 더했다.
CJ푸드빌 임직원 30명으로 구성된 농가탐방봉사단은 앉은뱅이 밀
농림축산식품부는 5일 2015년 맥류(보리, 밀) 재배면적이 4만4292ha로 전년대비 17.6% 증가했다고 밝혔다.
정부와 민간단체 협업을 통한 봄 파종 장려정책과 계약재배를 통한 안정적 판로확보 등으로 재배면적이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농식품부는 겨울철 노는 땅 활용으로 농가소득 향상과 식량자급률을 높일 수 있는 동계작물 재배를 확대하기 위해 유관
배 과수원이 15년째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6일 내놓은 '2015년 보리·봄감자·사과·배 재배면적 조사결과'를 보면 올해 배 과수원 면적은 1만2664㏊로 작년(1만3127㏊)과 비교해 3.5%(463㏊) 감소했다.
배 재배면적은 2001년부터 매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는 신도시 택지개발 등으로 문 닫는 배 과수원이 늘어
남부지역 논 삼모작시대가 열려 쌀 생산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축산 농가의 사료값 부담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은 남부지역 3모작 재배를 위한 현장 실증 연구를 통해 5월에 조생종 벼, 9월에 하파귀리, 11월에 호밀을 이어 짓는 삼모작 재배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삼모작 재배기술은 일찍 여무
우리나라 제2의 식량인 밀은 양면성을 띠고 있다. 부정적인 면은 국산 밀의 자급율이 3%를 밑돈다는 것이다. 거의 대부분 수입에 의존해 생산기반이 취약하다. 밝은 측면은 우리 밀 재배면적이 점차 늘어나고 수입 밀과의 가격 차이도 갈수록 좁혀지고 있다는 점이다.
국립식량과학원은 최근 중장기적으로 국산 밀의 자급율을 1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올해 초 과수, 밀 등 동해피해를 입은 농가에게 재배복구비가 지원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농어업재해대책심의 위원회를 개최해 지난 겨울 이상 한파로 피해를 입은 과수, 밀, 임산물 피해 농가에 재해복구비를 지원하기로 13일 결정했다. 전국에 걸쳐 3만 4천여호에 총 374억원의 재해복구비가 지원될 예정이다.
농어업재해대책심의 위원회는 농식품부 1차
내년까지 밀 가격이 크게 오를 것이라는 전망에도 영남제분이 강보합세다.
8일 오전 9시30분 현재 영남제분은 전일보다 15원(0.58%) 오른 2610원을 기록중이다.
이날 외신 등에 따르면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FAO)는 내년까지 밀 가격이 오를 것으로 관측했다.
이는 오는 7월부터 내년 6월까지 진행되는 밀 재배 시즌에 수확량이 수요
고급 국내산 밀 브랜드가 개발돼 하반기부터 보급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12일 농가재배부터 수확, 저장, 가공, 유통까지 안전성과 최고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한 최고급 밀 브랜드 ‘참들락’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참들락 브랜드 밀은 수확이 시작되는 하반기 이후 농협 등을 통해 보급될 예정이다.
참들락은 그동안
중국정부가 극심한 기후변화로 농작물의 피해가 예상되자 긴급조치에 나섰다.
정부가 24억위안(약 3900억원) 규모의 자금을 농작물 피해가 큰 농가에 지원하기로 했다고 19일(현지시간) 차이나데일리가 보도했다.
중국정부는 원자바오 총리가 주재한 긴급회의를 통해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중국 서남부 지방과 이례적인 한파가 몰아친 북부지방의 농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