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2월은 중국인에게 가장 행복하고 의미있는 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전통적인 명절이 모여 있는 달이다. 올해의 경우 4일은 ‘소년(小年, 음력 12월 23일)’, 11일 ‘대년(大年, 음력 12월 30일), 12일 ‘춘절(春節, 음력 1월 1일)’, 16일 로신(路神; 중국 재물신의 일종) 생일, 26일 ‘원소절(元宵節, 음력 1월 15일)
톨스토이는 “한 해의 마지막에 가서 그해의 처음보다 더 나아진 자신을 발견하는 것이 인생의 가장 큰 행복”이라고 했다. 해의 첫머리에 정한 목표를 향해 노력한 결과 작은 발전이라도 이뤄냈다면, 그것이 곧 행복이라는 뜻일 게다. 다들 잘 알겠지만 안타깝게도 그럴 수 있는 이는 흔치 않다. 그래서 12월엔 갈무리하고 지우고 잊는 게 필요하다.
매듭달(한
이즈막은 봄의 기대로 설렌다. 겨울이 물러난 뒤 햇볕은 다사로워진다. 기온이 오르면서 나뭇가지마다 잎눈이 돋고, 꽃망울이 맺힌다. 하지만 봄은 쉬이 오지 않고 어딘가에서 한참을 머뭇거리며 지체한다. 이맘때면 꼭 한두 차례 봄꽃을 시샘하는 추위가 닥친다. 이 때늦은 한파를 꽃샘추위라거나 ‘영등할매 추위’라고 한다. 영등할매는 음력 2월 초부터 보름 동안 지상
다음 달 5일은 음력 정월 초하루, 설날이다. 광복 후, 서기를 연호로 사용하면서 설도 양력으로 쇠어 양력 1월 1일부터 3일 동안을 ‘신정(新正)’이라는 이름의 공휴일로 삼았으나 국민들 대부분은 여전히 음력설을 쇠었다. 박정희 정권 때에는 불합리한 ‘이중과세(二重過歲:이중으로 새해를 맞음)’라는 명분으로 음력설을 쇠지 못하도록 규제함으로써 설날을 공휴일에
삼남매 중 막내로 태어난 저는 설날하면 아버님, 형님들과 함께 콩나물시루 같은 대중목욕탕을 꼭 가야만 했던 기억과 섣달그믐에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센다는 어머님 말씀에 잠들지 않으려고 버티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우리나라 명절 중 저한테 가장 기억에 남는 명절은 설날입니다. 1년의 시작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세뱃돈에 대한 설렘으로 설날을
오늘 밤엔 일찌감치 잠자리에 들어야겠다. 섣달그믐인 내일은 설맞이 준비로 바빠 뜬눈으로 밤을 지새울지도 모른다. 철없던 시절엔 까치설날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변한다는 어른들의 말을 믿었다. 어느 해인가 버티다 버티다 잠이 들었는데, 아침에 눈썹이 하얘져 엉엉 운 적이 있다. 물론 오빠들과 언니가 눈썹에 밀가루를 발라 둔 것이다. 걱정할 줄 알았던 아버지
2016년이 달랑 이틀 남았다. 돌이켜 보니 한 해 동안 귀한 인연을 여럿 만났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마음이 통하여 자신를 알아주는 벗을 만나는 것보다 더 기쁜 일이 있을까. 난초처럼 향기로운 사귐인 ‘지란지교(芝蘭之交)’, 맑은 물처럼 담박한 친구인 담수지교(淡水之交), 목숨을 나눌 만큼의 사이인 ‘문경지교(刎頸之交)’, 나이와 무관한 벗인 ‘망년지교(忘
“그대로 두고 보기로 했다/천천히 눈이 녹은 그 자리에서/연녹색 새싹들이 돋아날 때까지/그냥 기다리기로 했다”(설날 내린 눈 중)
등단 40주년을 맞아 11번째 시집 ‘오른손이 아픈 날’(문학과 지성사)을 펴낸 김광규 시인은 읽기 쉽게 시를 쓴다. 담담히 읽어 내려가다 보면 어느새 시 한 편이 술술 읽힌다. 대부분 한 연으로 구성된 짧은 시는 읽는
어느 날 공자가 냇가에 서서 이렇게 말했다. “가는 것은 이와 같구나. 밤낮을 쉬지 않는구나.” 어감은 알 것 같은데 우리말로 옮기기가 참 어렵다. “가는 것은 이와 같아서 밤낮을 쉬지 않는구나”라고 말을 이으면 더 어색해 보인다. 논어 자한(子罕)편의 원문은 ‘子在川上曰 逝者如斯夫 不舍晝夜’다.
공자의 탄식을 천상지탄(川上之嘆)이라고 한다. 川上은 냇
1616년에 치러진 증광회시(增廣會試) 때 광해군(1575~1641)이 ‘섣달 그믐날의 서글픔은 그 까닭이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냈다. “어렸을 때는 새해가 오는 것을 기뻐하지만 점차 나이를 먹으면 서글픈 마음이 드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세월이 흘러감을 탄식하는 데 대한 그대들의 생각을 듣고 싶다.”는 것이었다. 증광회시는 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때 임
어린 시절 설 전날이면 온 식구가 행사를 치르듯 공중목욕탕에 가서 해묵은 때를 벗겨 냈다. 집에 따뜻한 물이 나오지 않고 실내 목욕탕이 없는 탓도 있지만 청결한 몸으로 새해를 맞이하고 조상께 인사를 드려야 한다는 아버지의 지론 때문이었다. 목욕객 사이로 비집고 들어가 겨우 자리를 잡으면 어머니 손에 들린 때수건(일명 이태리타월)이 등부터 공격해 왔다.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