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피알
호실적에 K뷰티 확장 지속
4Q24P 매출액 컨센서스 상회, 영업이익 부합
2025E 영업이익 성장률 YoY +31%로 K뷰티 해외 확장 스토리 적용되는 최선호 기업
박종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
◇세방전지
들여다보면 호실적
2Q24 대비 살짝 아쉬우나, 별도기준으로는 분기 최대 실적 경신
구조적 성장에 수익성 개선까지 더해지며 이익
대신증권은 시프트업이 지난해 4분기 호실적에 이어 2종의 신작 모멘텀이 작용하며 1분기 주가가 우상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며 목표주가 역시 8만 원을 유지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6만6500원이다.
대신증권에 따르면 시프트업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3% 증가한 565억 원,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1%
혹독한 구조조정을 마친 국내 게임업계가 글로벌 영토 확장에 나선다. 국내 게임시장의 성장을 주도했던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장르가 한계에 봉착하고 중국산 게임의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그동안 장악해온 안방에서도 입지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주요 게임사들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플랫폼과 장르 다변화 전략에 속도를 내
14일 막을 올린 국제 게임 전시회 ‘지스타 2024’에서는 그동안 좀처럼 보기 힘들었던 PC와 콘솔 크로스플랫폼 및 다양한 장르의 게임들이 앞다퉈 출품하며 게이머들을 공략했다.
출품작의 장르와 플랫폼 다변화가 새로운 요소로 꼽히는 올해 지스타에서는 모바일, 대규모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에서 탈피해 다채로운 재미를 선사하기 위한 게임사들의 노력
넷마블이 9년 만에 올해 최고 게임이라는 왕관을 썼다.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가 2024 게임대상을 수상하면서다. 넥슨게임즈의 ‘퍼스트 디센턴트’, 시프트업의 ‘스텔라 블레이드’ 등 유력 경쟁 작품들과 치열한 접전 끝에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에서 입증한 인기와 웹툰 지식재산권(IP)을 게임으로 성공적으로 확장한 점 등이
시프트업의 3분기 영업이익은 모바일 게임 '승리의 여신: 니케'와 콘솔 게임 '스텔라 블레이드' 흥행에 힘입어 전년 대비 120% 증가했다.
시프트업은 올해 3분기 매출 58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3% 증가했고 영업이익이 같은 기간 120.4% 증가한 356억 원을 기록했다고 12일 공시했다.
순이익은 23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2025년부터 다시 게임 산업의 호황기가 시작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최악의 업황이었던 2022~2023년을 전후로 새로운 전략을 공개했고, 이후 개발 과정 2~3년을 거쳐 다변화를 탑재한 대작 게임들이 본격적으로 출시되는 시기가 2025~2026년이라는 이유에서다.
30일 NH투자증권은 "국내 게임 시장은 성장세가 둔화하며 글로벌, 장르, 플
다음달 13일에 개최되는 ‘2024 대한민국 게임대상’에서 어떤 게임사가 대상을 차지할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유수의 게임들 중에서 내수시장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흥행에 성공한 작품에 대상의 영광이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콘솔게임이 대상에 오를 수 있을지, 모바일게임이 자존심을 되찾을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일동제약
영업실적 회복, 조코바 변수 확인 필요
개별기준 영업이익 대폭 회복, 영업실적 안정화 진입
위장관치료제, 2형 당뇨치료제, 퇴행성 뇌질환치료제 우선 순위로 개발
코로나치료제 조코바(S-217622)에 대해 국내 품목승인을 추진 중
10월에 조코바 품목 승인 여부에 주목
◇코츠테크놀로지
K-방산이 열어주는 전방시장
방산 수출
KB증권은 23일 시프트업에 대해 ‘주류가 된 서브컬처’라며 투자의견 ‘매수’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목표주가는 8만 원을 제시했다.
이선화 KB증권 연구원은 “시프트업은 서브컬처 장르에 특화된 오리지널 지식재산권(IP)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모바일 뿐만 아니라 콘솔에서도 흥행력을 입증했다”며 “탁월한 인당 생산성과 인공지능(AI) 기술 투자로 개
미래에셋증권은 11일 시프트업에 대해 ‘호요버스의 성장 스토리가 보인다’며 ‘매수’를 추천했다. 목표주가는 9만5000원으로 게임 업종 대형주 최선호주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임희석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타겟 주가수익비율(P/E)은 넥슨의 기존 지식재산권(IP) 매출 반등 및 플랫폼 확장기였던 2022년 P/E 평균”이다. 2025F P/E 15배에
미래에셋증권은 넥슨게임즈에 대해 낙폭 과대 구간인 현재를 비중 확대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3만200원에서 2만8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1만9100원이다.
2일 임희석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퍼스트 디센던트(퍼디)의 시즌1 업데이트가 지난달 29일 진행됐으나 부정적 평가와
하나증권은 20일 시프트업에 대해 오리지널 지적재산권(IP)의 높은 흥행과 모바일, 콘솔로 검증된 개발력, 탁월한 생산성을 바탕으로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만5000원을 신규 제시했다. 전일 기준 현재 주가는 6만2500원이다.
시프트업은 올해 영업수익 2161억 원, 영업이익 1475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89.7%, 32.8% 증가한 기
메리츠증권은 크래프톤에 대해 신작 성과가 더해지면 향후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실적 상향을 반영해 기존 34만 원에서 40만 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29만3000원이다.
13일 이효진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2분기 크래프톤의 연결 매출 및 영업이익은 각각 7070억 원과
엔씨소프트와 시총 799억 차이 좁혀상장 이후 하락하다 다시 상승세니케ㆍ스텔라 블레이드 매출 안정IP 확보ㆍ고평가 논란 해소 '과제'
상장 이후 하락했던 시프트업의 주가가 다시 상승세를 보이며 게임업계 시가총액 3위인 엔씨소프트를 넘어설 수 있을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23일 오후 2시 기준 시프트업의 시가총액은 3조 9399억 원으로 국내 게임사
18조5500억 원. 시트프업이 모았던 청약 증거금이다. 시프트업의 공모 청약 경쟁률은 상반기 IPO(기업공개) 최대어라 불렸던 HD현대마린솔루션보다 높았다. 하반기 IPO 최대어로 기대를 받았던 시프트업이지만, 상장 후 주가 흐름은 지지부진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공모가 6만 원으로 상장했던 시프트업은 16일 종가 6만8600원으로 마감했다
국내 상장 게임사 4위에 안착공모가 18.33% 오른 7만1000원시총 크래프톤ㆍ넷마블ㆍ엔씨 뒤이어앞으로 4년간 2400억 투자 계획
게임 ‘승리의 여신: 니케’ ‘스텔라 블레이드’를 개발한 시프트업이 11일 코스피 시장에 성공적으로 입성했다. 시프트업 주가는 공모가(6만 원) 대비 18.33% 오른 7만1000원으로 장을 마감하면서 단숨에 게임업계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