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투자건수 243건, 투자금 1조2363억…각각 24%, 4% 줄어초기 라운드 투자금 4049억으로 12% 감소AI 스타트업 투자도 주춤…환경·에너지 투자 급증
올해 들어서도 국내 스타트업 투자 시장이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시드~시리즈A 단계의 초기 투자 위축이 두드러지며 창업 기업들의 자금 조달이 한층 더 어려워지고 있다.
3일 투
3월 4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BHSN, 웍스메이트, 트이다, 폴리머라이즈 등이다.
◇BHSN
비즈니스 리걸 인공지능(AI) 솔루션 ‘앨리비’를 운영하는 비에이치에스엔(BHSN)은 10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자인 알토스벤처스가 후속 투자를 단행했고, 한국산업은행, 우리금융캐피탈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
3월 3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퀀텀에어로, 무브, 클라우다이크 등이다.
◇퀀텀에어로
방산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퀀텀에어로는 ST캐피탈, 오픈워터엔젤스와 전략적투자자(SI) 2곳으로부터 초기 투자 37억 원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퀀텀에어로는 AI 드론 등을 수입하고 있다. AI 기반 자율 비행 기술을 개발하는 미국 방산 스타트업 ‘쉴드A
경기도와 경기테크노파크가 도내 기술이전 창업 활성화를 위해 ‘2025년 기술이전 창업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공개 모집한다고 16일 밝혔다.
‘기술이전 창업지원사업’은 대학·연구소·기업 등이 보유한 우수기술을 창업기업이 이전받아 성공적인 기술창업이 가능하도록 지원함에 목적을 둔다.
‘창업지원사업’은 당해 연도에 기술이전 계약체결 완료 또는 예정인 경
3월 2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커버써먼, 무빈, 페블스퀘어 등이다.
◇커버써먼
라이프스타일 패션테크 스타트업 커버써먼은 인터베스트, JS코퍼레이션, 빅무브벤처스, 마크 420 등으로부터 50억 원 규모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커버써먼의 누적 투자액은 100억 원을 기록했다.
커버써먼은 지속 가능한 섬유소재 기술을 연구·개발하는 라이프
3월 1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씨드로닉스, 포탈301, 더플레이토 등이다.
◇씨드로닉스
인공지능(AI) 선박 자율운항 솔루션 기업 씨드로닉스는 150억 원 규모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했다. 기존 투자자인 원익투자파트너스와 라이트하우스컴바인인베스트를 비롯해 LB인베스트먼트, KB인베스트먼트, 산업은행이 참여했다.
씨드로닉스는 실제 운항 데
삼성전자가 MWC25에서 새로운 갤럭시 A시리즈 A56 5G와 A36 5G를 동시에 공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시리즈는 처음으로 어썸 AI(Awesome AI)가 적용됐다.
갤럭시 A56 5G와 A36 5G는 기존 A시리즈만의 디자인을 계승하면서도 모던한 감각을 더했다는 평가다. 갤럭시 A56 5G의 프레임은 메탈 소재로 깔끔하며, 다양한 색상을
2월 4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레이와트, 제이엘티, 테이밍랩 등이다.
◇레이와트
심혈관 중재 의료기기 스타트업 레이와트는 85억 원 규모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한국투자파트너스, IBK기업은행, SBI인베스트먼트, L&S벤처캐피탈, 리인베스트먼트, 오다스톤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레이와트가 개발한 심혈관 광간섭단층촬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2022년 세계 최초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로 페링파마슈티컬스의 ‘리바이오타’ 승인 후, 2023년 세레스테라퓨틱스의 ‘보우스트’가 두 번째로 FDA 허가를 받았다.
국내에서도 쎌바이오텍과 CJ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 등이 치료제 개발에 나서며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이 주목을 받고 있다.
26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마이크
마크비전이 인공지능(AI) 기반 지식재산권(IP) 솔루션으로 기업들의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보호해 글로벌에서 성장하고 있다.
24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마크비전은 올해 B2B 시장 확대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2019년 미국에서 설립된 마크비전은 2020년 글로벌 위조상품 모니터링 자동화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인섭 마크비전 대표는 하버드 로
2월 3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코넥티브, 앳홈, 휴밀, 펫팜 등이다.
◇코넥티브
인공지능(AI) 기반 정형외과 전주기 솔루션 개발사 코넥티브는 140억 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유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사인 DSC인베스트먼트, 슈미트, 스톤브릿지인베스트먼트, 리벤처스와 5개 신규 투자사가 참여했다.
코넥티브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메타 등 빅테크들이 뛰어든다는 소식에 국내 로봇주가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18일 오전 9시 53분 현재 유일로보틱스는 전 거래일보다 25.60% 상승한 6만2800원에 거래 중이다.
같은 시간 휴림로봇(11.86%), 라온테크(11.43%), 두산로보틱스(10.26%) 등 주가도 급등하고 있다.
테슬라가 독주하는 휴머노
오큐티, 양자 컴퓨팅 상용화 가속…연구 인프라 확충이스턴에디션, 해외 유통 채널 확대…뉴욕 쇼룸 검토
2월 2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 오큐티(OQT), 이스턴에디션, 부에노컴퍼니, 엔코위더스 등이다.
◇오큐티
양자 컴퓨팅 스타트업 오큐티는 카카오벤처스와 블루포인트로부터 30억 원 규모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오큐티는 양자 컴퓨팅에 필요한 고성
경기주택도시공사(GH)의 스타트업 해외진출 지원 프로그램인 'GH 베이스캠프' 참가 기업들이 잇따라 투자유치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GH에 따르면 'GH 베이스캠프'는 판교 입주기업 중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미국 샌프란시스코 실리콘밸리에서 투자유치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5개사를 선정해 미국 실리콘밸리
2월 1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클래스101·시나몬·마코빌 등이다.
◇클래스101
올인원 크리에이터 콘텐츠 플랫폼 클래스101은 미국 로스앤젤레스(LA) 기반 벤처캐피털 ‘스트롱벤처스’로부터 35억 원 규모 투자를 받았다. 지난해 10월 150억 원 투자에 이은 브릿지 투자로, 누적 투자액은 약 825억 원이다. 스트롱벤처스는 초기 성장 단계
지난해 1200억 투자받아 주목…수익 창출 다각화숏폼 제작 직접 참여…첫 자체 제작 드라마 선보여
글로벌 콘텐츠 플랫폼 기업 스푼랩스가 제작 현장 경험 기반의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창작자와 시청자를 모두를 위한 서비스 혁신을 추진한다.
1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스푼랩스는 콘텐츠 제작 역량을 갖춘 종합 플랫폼 도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스푼랩스
1월 3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채널코퍼레이션, 베스트이노베이션, 잇그린, 210컴퍼니 등이다.
◇채널코퍼레이션
올인원 인공지능(AI) 비즈니스 메신저 ‘채널톡’ 운영사 채널코퍼레이션은 11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기존 투자사인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의 주도로 라구나인베스트먼트와 신규 투자자인 알토스벤처스가 참여했다.
채널톡은 AI 챗봇
“기술로 사고를 예방하고 중개를 더 안전하게 하겠습니다.”
이훈구 부톡 대표는 12일 본지와 인터뷰를 통해 “쿠팡이나 당근은 사기를 당해도 소액이지만, 부동산은 잘못하면 ‘억’ 단위로 손해를 본다”며 “부톡은 2000건 넘는 중개 과정에서 사고, 분쟁이 한 건도 없었다”고 말했다.
부톡은 이 대표 등 서울대학교 공간정보연구실 출신 데이터 엔지니어들이
1월 2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본작, 잉카엔트웍스, 칼라빈카엔터테인먼트 등이다.
◇본작
뷰티 스타트업 본작은 25억 원 규모의 프리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유진자산운용, 아주IB투자, 퓨처플레이 등이 참여했으며, 멀티 클로징 형태로 추가 투자 유치를 계속 논의 중이다.
본작은 프랑스 헤리티지 기반 프래그런스 브랜드 셀바티코(
투자금 6조883억 원, 전년보다 20% 줄어…초기 라운드 투자 기피 뚜렷엔터프라이즈·보안 AI 스타트업에는 뭉칫돈
지난해 국내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투자가 연초 기대와는 달리 ‘V’자 반등 없이 내림세로 종료됐다. 대다수 업종에 대한 투자가 줄어든 가운데 2023년 바닥을 쳤던 인공지능(AI) 스타트업에는 뭉칫돈이 몰리며 투자 시장의 관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