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씨소프트는 지난해 매출 1조 5781억 원, 영업손실 1092억 원, 당기순이익 941억 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전사 구조 개선에 따른 퇴직위로금 지급 등 일회성 인건비 발생과 신작 출시 마케팅비 증가로 전년 대비 적자 전환했다. 당기순이익은 영업손실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56% 줄었다.
지
게임사들이 설 연휴를 맞아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며 게이머들을 겨냥하고 있다. 방학시즌과 함께 게임업계 최대 대목으로 꼽히는 올해 설 명절은 역대급으로 긴 연휴를 맞이하는 만큼 설 특수가 예상된다.
26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엔씨소프트는 모바일·온라인 게임 10종에서 이벤트를 진행한다.
쓰론 앤 리버티(TL)는 다음달 6일까지 ‘해피 루나 뉴 이어!’ 이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길게는 25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이어지는 설 황금연휴를 맞아 게이머들을 사로잡기 위해 게임사들이 각종 이벤트를 선보이고 있다.
카카오게임즈는 라이온하트 스튜디오가 개발한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오딘:발할라 라이징’의 신규 챕터 ‘바나하임’ 업데이트와 함께 설맞이 이벤트를 진행한다.
오딘의 여덟 번째 대륙인 바나하임
새해를 맞아 대형 게임들의 대규모 업데이트가 진행되는 가운데 메이플스토리의 점유율이 대폭 상승했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넥슨의 온라인게임 '메이플스토리' 피시방 점유율이 9.39%를 기록하며 전체 순위 2위를 차지하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앞서 메이플스토리는 지난해 12월 19일 겨울 1차 업데이트 이후 260레벨까지 '1+4' 레벨업으로
다올투자증권은 14일 엔씨소프트에 대해 2024년 영업손실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할 전망이고, 상반기 신작 기대감과 흥행이 주가 방향성의 주요 요인이라며 투자 의견을 '매수', 적정 주가를 25만 원으로 유지했다.
김혜영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엔씨소프트의 2024년 4분기 예상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 감소한 4240억 원, 영업손실은
대신증권은 6일 엔씨소프트에 대해 신작 흥행 부진과 대규모 인력 감소로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목표주가 20만 원과 투자의견 ‘시장수익률(Marketperfom)’은 유지했다.
이지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엔씨소프트는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1% 감소한 4345억 원, 같은 기간 적자 전환한 영업손실은
게임 업계, 크리스마스 및 연말연시 맞아 다양한 이벤트 진행크리스마스 테마 단장…아이템부터 현물 상품까지 혜택도 다양
게임 업계가 크리스마스와 연말연시를 맞아 다양한 이벤트를 쏟아냈다. 크리스마스를 시작으로 연초까지 풍성한 보상이 게임 이용자들을 기다리고 있다.
24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넥슨을 비롯해 엔씨소프트, 넷마블, 카카오게임즈, 컴투스, 컴투
출시 닷새째 구글플레이 매출 5위방치형 RPG 다각화로 긍정 평가연이은 흥행 실패 벗어날 기회로
잇달아 신작 흥행에 실패했던 엔씨소프트가 이번 신작 ‘저니 오브 모나크’로 웃음을 보이고 있다. 겨울방학을 앞두고 내놓은 회심작인 만큼 엔씨소프트 실적 회복에 기여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2일 구글플레이에 따르면 엔씨소프트의 저니 오브 모나크는 매출 5위
교보증권은 3일 엔씨소프트에 대해 올해 진행된 인력 구조조정으로 고정비 감축과 신작 출시 지연 억제 효과가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를 기존 25만5000원에서 27만1000원으로 상향하고 투자의견 ‘트레이딩 바이(trading buy)’를 유지했다.
김동우 교보증권 연구원은 “엔씨소프트에서 1분기 진행된 권고사직과 4분기 진행중인 희망퇴직을 포함
교보증권은 엔씨소프트에 대해 내년부터 이익 정상화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트레이딩 바이(단기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25만5000원에서 27만1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24만4500원이다.
3일 김동우 교보증권 연구원은 “올해 상반기 진행된 권고사직, 4분기 진행중인 희망퇴직을 포함한 인력 구조조정을
엔씨소프트가 최근 부진했던 수집형 역할수행게임(RPG) 신작 ‘호연’ 개발팀 인원의 60% 가량을 정리하기로 했다.
5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엔씨소프트는 최근 호연 개발팀 170여명 중 100여명을 내보낼 것이란 방침을 밝히고 희망퇴직 신청 절차를 안내했다.
신작 호연에 대한 성과가 부진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호연은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대만 시장
본사 중심의 개발과 퍼블리싱을 고수해온 엔씨소프트가 ‘멀티 스튜디오’ 체제로의 전환을 알렸다.
실적 부진의 배경으로 꼽히는 ‘과도한 본사 집중도’를 완화하고 독립적인 개발 스튜디오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다. 시장에서는 ‘골든 타임’에 놓인 엔씨가 과감한 결단을 통해 변화를 선택했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
29일 관련업계에
엔씨소프트가 쓰론 앤 리버티(TL)’ 사업 부문을 게임 개발 스튜디오 전환하고 TL의 글로벌 사업 확장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개발 전문 스튜디오 체제는 TL의 게임 개발 전문성, 조직의 창의성과 진취성, 신속한 의사결정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스튜디오 출범으로 TL 글로벌 서비스는 더욱 강화되며 어떠한 영향도 없이 안정적으로 지속된다. 이를 통
엔씨소프트가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의 '매도' 의견에 약세다.
10일 오전 9시 55분 현재 엔씨소프트는 전 거래일 대비 8.24% 내린 20만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9일(현지시간) 엔씨소프트의 주가가 과대평가 돼 있다며 투자의견 '매도'를 제시했다. 목표주가는 17만 원으로 낮췄다.
골드만삭스는 엔씨소프트가 아마존게임즈와
NH투자증권은 8일 엔씨소프트에 대해 TL(쓰론앤리버티)이 양호한 실적을 보이며, 4분기 이후 매출 회복이 기대된다며 투자 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 주가를 28만 원으로 상향했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엔씨소프트는 신규 게임의 성과 부진, 리니지라이크 장르에 집중된 게임 포트폴리오 등으로 투자자들과 게이머들의 관심에서 벗어나 있었으나,
엔씨소프트와 아마존게임즈는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THRONE AND LIBERTY(쓰론 앤 리버티, TL)’를 1일 오전 10시(현지 기준) 글로벌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북∙중∙남미, 유럽, 오세아니아, 일본 등 글로벌 지역에서 TL을 서비스한다. 서비스 플랫폼은 △PC 스팀(Steam) △콘솔 플레이스테이션 5(PlayStation
엔씨소프트가 강세다. ‘쓰론앤리버티(TL)’ 글로벌 출시 첫날 스팀 일간 최다 동시 접속자 32만 명을 돌파했다는 소식이 오름세를 이끈 것으로 보인다.
2일 오후 1시 20분 기준 엔씨소프트는 전 거래일 대비 5.50%(1만500원) 오른 20만1500원에 거래 중이다.
TL은 1일 글로벌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스팀 DB에 따르면 TL은 출시 첫
엔씨소프트는 아마존게임즈와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THRONE AND LIBERTY(쓰론 앤 리버티, TL)’의 글로벌 얼리 액세스(Early Access, 앞서 해보기)를 9월 26일(현지 기준) 시작했다고 27일 밝혔다.
TL 글로벌 서비스는 PC는 스팀(Steam), 콘솔은 플레이스테이션 5(PlayStation 5, PS5)과 엑스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