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에이치아이
2025년에도 강력한 수주 모멘텀 지속
기업개요: 발전용 기자재 관련 사업, 원전 보조 기기 사업 영위
투자 포인트 1) 중동을 중심으로 2025년에도 수주 모멘텀은 지속 2) 에너지 정책 변화에 따라 미국에서 발생할 수주 모멘텀에도 주목
한제윤 KB증권
◇비에이치아이
수주 지속 가능성에 주목
수 년간 이어질 HRSG 수주 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5년 7.5㎓폭의 공공용 주파수를 공급한다. 과기정통부는 27일 공공용 주파수 정책협의회에서 '2025년 공공용 주파수 수급 계획'을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전파법에 따라 매년 중앙행정기관, 공공기관 등의 차기 연도 이후 주파수 이용계획을 검토해 공공용 주파수 수급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올해는 국방부, 국토부
디지털 트윈 업체 이지스가 자체 구축한 전력설비 방호 안티 드론 통합운용시스템 데이터 품질 심사에서 Complex-Type의 Class A등급을 인증받았다고 6일 밝혔다.
이번 데이터 품질 인증(DQ) 수여식은 과기부가 지정한 데이터 품질인증기관인 와이즈스톤이 심사〮인증을 진행했다. 가장 중요한 데이터 검증의 항목은 해외의 인증기준을 국내에 적합하게
방산업체 안두릴과 대(對)무인항공기시스템 개선“미‧중 AI 활용 안보기술 경쟁 치열...경쟁우위 지켜야”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방산업체 안두릴과 안티드론시스템(ADS)을 협력 개발, 미군 드론 방어 능력 강화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오픈AI와 안두릴은 이날 공동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오픈AI의 인공
국내 유일 질화갈륨(GaN) 무선안테나(RF) 반도체 전문기업 웨이비스가 조 단위 국내 신 방공무기체계 프로젝트에 참여해 향후 양산을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방공 무기체계는 사드와 천궁 등과 함께 대공 방어체계의 주요 구성 요소가 될 전망이다.
4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웨이비스가 참여한 방공무기체계 프로젝트의 개발이 최근 완료됐다.
웨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미래엔 드론 전쟁을 치를 것”이라는 소식에 웨이비스가 26일 오후 1시 21분 현재 전 거래일 대비 14.71% 오른 8890원에 거래 중이다. 웨이비스는 국내 최초·유일 국산화에 성공한 GaN RF 반도체 칩 양산 기술을 가지고 있는 회사로 안티드론 등 첨단 무기체계에 적용될 수 있다.
한국중부발전이 보령LNG터미널과 손잡고 드론 테러 대응에 나선다.
중부발전 보령발전본부는 22일 보령발전본부에서 '보령LNG터미널'과 '드론테러 공동대응을 위한 안티드론 통합관제 영상공유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MOU는 산업통상자원부 및 정부 대테러센터가 추진하는 안티드론체계 권역화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고정·영보산업단지
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은 17일 "국내 대륙붕 중장기 탐사 계획인 광개토 프로젝트의 수립 및 이행을 통해 서·남해 탐사사업 확장으로 해양 주권 확보와 탄소중립 목표 달성 자원 사업 개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이날 울산 석유공사 본사에서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 업무보고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제4차 전파진흥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전파진흥기본계획은 전파법에 따른 법정계획이다. 지난해 5월부터 산‧학‧연 전문가가 60여 차례의 회의를 거쳐 다양한 과제를 발굴했다. 과기정통부는 전파정책자문회의, 관련 공청회, 과학기술 유관단체 메일링 등으로 의견을 청취했다.
전파는 데이터의 생성‧전송‧처리‧활용
“웨이비스는 코스닥 상장을 통해 반도체 산업 내 핵심 부품에 대한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고 국가 핵심 사업 자립화에 기여해 질화갈륨(GaN)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하겠다.”
임승준 웨이비스 전무는 10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에서 “웨이비스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GaN RF 반도체 칩, 패키지트랜지스터, 모듈 개발
드론탐지 솔루션 선도 기업 토리스스퀘어는 카덱스(KADEX) 2024 현장에서 군 및 방산 업계 주요 관계자를 대상으로 ‘테크데이(Tech. Day)’ 행사를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선 휴먼테크놀로지와 함께 계획 중인 차세대 대드론 통합시스템 사업의 청사진도 처음으로 공개됐다.
총 3개의 세션으로 진행된 토리스스퀘어의 테크데이는 일라이자(
한화 ‘방산 3사’, ‘KADEX 2024’ 참가“중‧고도 미사일 대응…안티드론 통합체계 선보여K9 유무인복합체계‧0.25m급 소형 SAR 위성 첫 전시“유럽‧중동 안보수요 적극 대응…방위산업, 미래 먹거리”
한화가 대한민국의 영공을 철통 방어할 최첨단 기술 기반의 ‘다층방어 솔루션’을 선보인다. 다양한 높이에서 날아오는 탄도미사일뿐 아니라 현대전의
PS-LTE·LTE 모듈을 드론에 장착, 실시간 통신 및 AI 영상 분석 기능 제공원전·공항 등 국가 주요기반시설 주변 불법 드론 운행과 테러 피해 대비단일 장비로 LTE 통신·AI 영상분석·임무 컴퓨터 통합 제공하는 국내 첫 사례
SK텔레콤은 원자력발전소나 공항 등 국가 주요 기반시설을 위협하는 불법 드론 지능형 대응 시스템을 위한 통신·AI 통합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이 드론 테러 등 신기술 악용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의성군과 힘을 모은다.
KTL은 28일 의성군과 '대(對)드론 및 미래항공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KTL은 2022년부터 매년 드론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안티드론 기술 비공개 시험'을 주관하고 있다.
대드론이란 테러, 범죄, 사생활 침해 등 불법
인포마크가 사명을 '휴먼테크놀로지'로 변경하고 최첨단 인공지능(AI) AESA 레이더 시스템 중심의 방산 신사업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를 위해 인포마크는 22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사명변경을 포함한 정관 일부 개정을 의결했으며 최근 ‘방산사업본부’를 신설했다.
휴먼테크놀로지는 최근 방위·방산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안티드론
카이투스테크놀로지(카이투스)는 한국정보시스템감사통제협회와 대드론(C-UAS; Counter-Unmanned Aircraft System) 분야 정보 보안 연구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양사 간 안티드론 시스템 정보 보안 연구개발, 인재 양성 및 공동사업을 통해 상호 발전 및 산업 생태계 개선을 추
카이투스테크놀로지(카이투스)는 선진특장과 이동형 안티드론 차량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카이투스의 안티드론 분야 전문성과 선진특장의 특수 특장차 생산 노하우를 결합해 이동형 안티드론 시스템(ADS) 차량 개발에 협력할 예정이다.
1992년 설립된 선진특장은 1997년 현대자동차 협력업
인포마크가 안티드론 솔루션 기업 토리스스퀘어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토리스스퀘어는 최대 13km까지 탐지할 수 있는 '일라이자(Elijah) 레이더'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다.
일라이자 레이더는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세계 최초 주파수변조연속파(FMCW) 기반의 인공지능(AI) AESA 레이더 시스템이다. 2021년
정부가 드론 위협에 대한 국가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국가 드론 인프라 2곳(의성·고성)을 국가 안티드론 훈련장으로 지정한다.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정보원은 12일 경상북도 의성 드론비행시험센터에서 ‘국가안티드론훈련장 지정ㆍ운영 및 사용에 관한 업무협약서(MOU)’을 체결한다.
이번 MOU는 국토부·과기정통부·국정원 등 관계부처가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