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이 국내 전통 제약사 최초 연 매출 2조 원을 돌파했다. 유한양행은 12일 연결기준 지난해 매출이 2조677억 원이라고 공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11.2%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6.4% 감소한 477억 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제약업계 최초로 연 매출 2조 원을 넘겼다. 회사는 매출 증가 요인으로 라이선스 수익 증가를 꼽았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024년 4분기 경영실적 설명을 통한 투자자 이해도 제고
△엑셀세라퓨틱스, 국내 기관 투자자 대상 Non-Deal Roadshow 실시
△크래프톤, 국내 NDR 및 컨퍼런스
△메카로, 2024년 연간 실적에 대한 투자자 이해도 증대
△에스티팜, 다올투자증권 주관 NDR 참가
△동아에스티, 회사 이해 증진 및 기업가치 제고
△테스,
유한양행과 급속정밀 냉각기술 전문기업 리센스메디컬은 아이스니들링(IceNeedling™)과 엑소좀을 결합한 반려동물 피부질환 치료 신기술의료기기의 마케팅과 판매에 대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벳이즈(VetEase®)’는 하나의 장비를 세 가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신기술 의료기기다. 인(IN)모드는 벡소힐(VexoHeal®)이라고
유한양행(Yuhan)은 급속정밀 냉각기술 전문기업 리센스메디컬(RecensMedical)과 반료동물 의료기기 공급 및 마케팅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MOU에 따라 유한양행은 리센스메디컬의 아이스니들링(IceNeedling™)과 엑소좀을 결합한 피부 질환 치료 신기술의료기기인 벳이즈(VetEase®)와 벡소힐(VexoHe
‘삼성바이오로직스 4조 원’, ‘유한양행 2조 원’ 돌파 등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는 가운데, 중소 제약사들도 지난해 호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매출 상위와 중위권 다수 제약사들의 외형과 수익성이 모두 성장하면서 향후 국내 제약·바이오업계 성장에도 긍정적이란 평가가 나온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삼진제약은 지난해
지난해 유한양행의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품목허가를 획득하며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의 큰 성과로 자리매김했다. 올해 렉라자를 뒤이어 FDA 문턱을 넘을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활약에 관심이 쏠린다.
30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올해 HK이노엔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으로, HL
유한양행(Yuhan)이 지난 21일 바이엘코리아(Bayer Korea)와 비판텐®연고, 카네스텐®의 국내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비판텐®연고와 카네스텐®의 공급계약 체결은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유한양행 본사에서 진행했다. 체결식에는 유조욱제 한양행 대표와 오영경 바이엘 코리아 컨슈머헬스 사업부 대표 등 양사 임원진들과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국
카카오페이증권은 지난해 한국과 미국 주식시장에서 사용자들의 투자 성과 분석 결과를 자사의 리서치 콘텐츠인 ‘무지 쓸모있는 투자 소식’에 공개했다고 23일 밝혔다.
카카오페이증권 사용자들은 국내외 주식시장에서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이 큰 종목을 선호했다. 한국장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유한양행이, 미국장에서는 △엔비디아 △테슬라 △디렉시온 데일리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지난해 실적 신기록을 쓴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최대치인 연매출 4조 원 돌파는 물론, 전통 제약사의 연매출 2조 원 시대 개막, 새로운 ‘1조 클럽’ 기업의 등장 등 산업의 성장을 드러내는 최대 실적 행진이 기다리고 있다.
삼성바이오, 업계 최초 ‘4兆’ 새 역사
2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HD현대중공업
특수선/엔진/호실적 모두를 아우르는 중
4Q24 Preview- 컨센서스 상회
증익 구간 지속, 새로운 성장동력인 특수선 부문
목표주가 380,000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BUY 유지
서재호 DB금융투자
◇HD현대미포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리는 구간
4Q24 Preview- 컨센서스 부합
수익성 상승 구간이 가팔라지는 25년
목표주가 1
정부, 국내 기업 제품개발·산업 육성 적극 지원해야이효영 국립외교원 부교수, 제약바이오협회 ‘정책보고서’ 통해 전략 제시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주요국들이 자국 중심의 제약·바이오 공급망 재편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우리 산업계
메리츠증권은 17일 유한양행에 대해 올해 상반기 임상 모멘텀에 따른 주가 상승 여력을 보유했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를 기존 19만 원에서 22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김준영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유한양행의 4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12.2% 증가한 4904억, 영업이익은 274.1% 늘어난 223억 원으로 매
◇현대백화점
이젠 지누스가 효자 노릇
4Q24 Preview: 이젠 지누스가 효자 노릇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7만 원 유지
오린아 LS증권 연구원
◇진에어
4Q24 Preview: 실적보다 중요해진 재편
겨울 성수기의 시작을 알리는 4분기
1분기 성수기 모멘텀이 부각되기 어려운 환경
대한항공 계열 LCC로서의 차별성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
최고운 한
저출산 시대에 출산과 입양으로 생명존중과 돌봄의 가치를 실천한 두 가정이 제15회 유일한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유한양행은 15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창업자 고(故) 유일한 박사의 뜻을 기리는 제15회 ‘유일한상’ 시상식을 열고, 저출산 시대에 출산과 입양을 통해 생명존중과 사랑·돌봄의 가치를 실천한 두 가정의 공로를 인정해 공동수상자로 선정했다고
HLB파나진(HLB Panagene)은 액체생검 암 진단키트 '파나뮤타이퍼 EGFR(PANAMutyperTM EGFR)'에 대해 말레이시아 의료기기청(MDA)으로부터 허가를 획득했다고 15일 밝혔다.
회사는 현재 말레이시아 주요 병원과 협력 등을 논의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 점유율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파나뮤타이퍼 EGFR은 액체생검으
지난해 이맘때다. “올해는 괜찮아지겠죠?”, “힘들어도 할 건 해야죠”, “정부가 더 힘을 실어주면 좋겠습니다”
2024년 대한민국 제약·바이오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더 많은 성과를 내기 위해 무엇이 필요하냐는 물음에 대한 답이었다. 지난해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산업 투자 행사인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참가해 많은 글로벌 제약기업과 투자자들로부터
14일 코스피 약보합, 코스닥 강세로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일보다 0.31% 오른 2497.40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 홀로 2988억 원을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954억 원, 580억 원을 순매도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오후 3시 30분 주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7.60원 내린 1463.2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코스피 약보합, 코스닥 강세다.
14일 오후 2시 54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일보다 8.99p(0.36%) 오른 2498.55에 거래 중이다.
개인 홀로 2570억 원을 순매수 중인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410억 원, 681억 원을 순매도 중이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오후 2시 49분 주간 원·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4.70원(0.32
유한양행(Yuhan)이 면역항암제 개발 전문회사 박셀바이오(Vaxcell Bio)와 지난 10일 반려견 전용 유선종양 면역항암제 '박스루킨-15'의 마케팅과 판매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박셀바이오의 박스루킨-15는 지난해 8월 국내 최초로 반려견 전용 유선종양 면역항암제로 품목허가를 받았다. 지난 12월에는 적응증을 림프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