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좋아하는 단어 중에 ‘유교적 가치’라는 말이 있다. 유교라고 하면, 지금은 보수 진보의 개념으로만 파악해 유교를 보수로만 여기고 마는데, 지금 자칭 한국의 ‘보수파’ 혹은 ‘보수 세력’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내가 어린 시절부터 아름답게 보아왔던 진정한 보수세력이 아니다. 특히 정치에서 보수를 표방하는 사람들은 더욱 그러하다.
나는 보수라는
며칠 전 크리스마스 날 아침 텔레비전에서 우리나라의 산타마을이라는 경상북도 봉화군 분천마을에 대한 프로그램을 보았다. 어릴 때 우리 마을과 우리 집에는 절대 오지 않는 산타 할아버지를 꼭 한 번 만나보는 게 꿈이었는데 이제는 내가 산타 할아버지 나이가 되었다. 텔레비전을 보며 언제 꼭 한 번 분천마을에 가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봉화군 분천마을이 핀란드
내가 처음 서울의 지하철을 타본 것은 지금부터 꼭 48년 전인 1976년의 일이었다. 서울 지하철이 완공된 지 3년 되던 해였다. 그때 나는 강릉에서 고등학교를 다니던 학생이었고, 서울에 무슨 시험을 보러 올라와 친구들과 또 우리를 인솔하는 선생님과 함께 ‘동대문’에서 ‘시청앞’까지 그것을 타보았다. 지금 서울지하철 1호선 구간이다.
기찻길의 터널은 산
고향 친구가 산길을 걷다가 주운 밤 한 움큼을 마루에 펼쳐놓고 찍은 사진을 보내주었다. 우리가 어릴 때 말밤(왕밤)이라고 부르던 아주 굵은 밤이었다. 아직까지 그런 밤이 길 위에 남아 있다면 사람들이 많이 다니지 않는 길 위에서 주웠을 것이다. 나무에 매달린 밤송이에서 땅으로 떨어진 지도 이미 보름은 더 지났을 듯싶게 밤껍질은 더 진한 갈색으로 변해 있고,
계절 준비 가운데 가장 큰 준비는 겨울 준비다. 찬바람을 맞이해 겨울을 넘긴다는 뜻에서 월동 준비라고 불렀다. 양식 준비도 해야 하고, 땔감 준비도 해야 하고, 추운 겨울을 날 의복 준비도 해야 한다. 눈에 지붕이 새지 않게 초가집은 새 지붕을 올렸다. 겨울준비는 봄여름가을 열심히 일하다가 이제 조금 편한 마음으로 쉬는 준비를 했다.
겨울 준비만큼 이것저
아침에 일어나면 매미 소리부터 듣는다. 어릴 때는 동도 트지 않은 새벽부터 우는 매미 소리를 듣지 못했는데 요즘은 한밤이든 새벽이든 가리지 않는다. 불빛만 있으면 언제든 운다. 왜 이렇게 울까요? 누가 물으니 짝짓기를 위해 우는 거라고 책에 나오는 대로 말하는 사람도 있고, 땅속에 오래 있다가 나오는 매미의 생애를 보세요, 어떻게 울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PKF서현회계법인이 신임 파트너 3명에 대한 승진 인사를 실시했다. 이 중 2명은 여성으로 등용해 조직 내 다양성을 갖추고 미래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
서현회계법인은 26일 박영아, 이순원, 신용선 등 3인을 신임 파트너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박 파트너는 금융업 특화 전문가로, 주요 금융기관 대상으로 수준 높은 감사·비감사 업무를 제공해왔다. 이
직업이 글을 쓰는 사람인데, 15년 전 고향 강릉에 가서 그곳에 ‘바우길’이라는 이름으로 걷는 길 탐사를 한 적이 있다. 그건 애초 내 인생에서 계획에 없던 일이었다.
25년 전에 초등학교 5학년짜리 아들과 함께 대관령에서부터 산 아래까지 옛길을 굽이굽이 걸어서 ‘아들과 함께 걷는 길’이라는 소설을 쓴 적이 있었다. 그 작품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
우리가 평소 잘 아는 듯 여겨도 실제로 그가 살아온 생애에 대해 제대로 모르는 인물이 많다. 얼마 전 어느 출판사의 요청으로 사임당 평전을 쓰며, 사임당이야말로 그런 인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우리나라 사람이면 누구나 다 아는 인물인데, 실제로는 사임당의 생애에 대해 제대로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사임당은 조선시대에 태어난 여성 가운데서는 드물
중고등학교 시절 취미란에 독서라고 쓰면 독서는 생활이지 취미가 아니라고 면박을 주며 나무라던 선생님이 계셨다. 중학교 때도 그런 선생님이 있었고, 고등학교 때에도 그런 선생님이 있었다. 실제 생각보다 많은 선생님들이 그렇게 말씀하셨다.
그 시절에는 학생들에게 마땅한 취미 활동도 없었다. 방과 후 땀을 뻘뻘 흘리며 공을 차고, 더러 음악을 좋아하는 친구는
남쪽에서는 봄꽃 소식이 한창인데 며칠 전 고향 강원도에는 눈이 많이 내렸다. 사람들은 그것을 다 신기하게 여겼다. 꽃이 필 계절이지 눈이 내릴 계절이 아닌데 눈이 오니 더 그랬다. 그러나 돌아보면 그런 모습이야말로 내게는 정말 익숙했다.
고등학교 때 가와바디 야스나리의 ‘설국’을 읽었다. 원문을 그대로 번역한 책이라 제일 앞부분이 이랬다. ‘국경의 터널
지금 나의 어머니는 우리가 세는 나이로 아흔여섯이다. 몸은 많이 야위고, 거동도 많이 불편하시다. 아직 총기 있게 말씀하실 때도 있지만, 찾아간 아들이 누구인지 모를 때도 있다. 이러면 찾아간 자식들도 그게 안타까워 이내 한 번 더 찾아뵙게 된다. 좀 더 활기차고 총기 있게 말씀하시는 모습을 보면 한동안 안심스러운 마음이 된다.
어머니는 1929년에 태
며칠 전 강원도 봉평에 글을 쓰는 사람 십여 명과 함께 일박이일 여행을 다녀왔다. 금요일 오후에 모여 토요일 점심 때 끝나는 여행 일정 속에 시인 한 명 소설가 한 명, 이렇게 두 시간씩의 작가와의 대화 시간을 가졌다. 다시 분임토의처럼 자기 글에 대한 고민을 이야기하며 밤늦게까지 술잔을 나누었다.
다음날 아침 식사를 끝내기 무섭게 태기산 정상으로 나
어린 시절 할머니는 우리 형제들이 마당에서 놀 때 서로 이름을 크게 부르는 것도 손사래를 쳐 조심시켰습니다.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듯 아무리 형제라도 서로 이름을 크게 부르면 그 소리를 저세상 명부의 손님이 듣고 불러갈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할머니, 그건 미신이에요.” 하고 아무리 말씀드려도 조심해서 나쁠 것은 없다고 늘 말씀하셨습니다.
심정우(로운)가 정순덕(조이현)을 지키기 위해 차가운 이별을 고했다.
12일 방송된 KBS2 월화드라마 ‘혼례대첩 13회는 닐슨 코리아 기준 수도권 4.6%를 기록하며 3주 연속 월화극 1위를 수성, 월화극 최강자임을 증명했다. 이날 방송에서는 심정우와 정순덕의 키스 엔딩에서 반전의 이별 엔딩으로 이어지며 시청자들의 궁금증을 자아냈다.
극중 입맞춤으로
심정우(로운)와 정순덕(조이현)이 애절한 입맞춤으로 서로의 마음을 확인했다.
11일 방송된 KBS2 월화드라마 ‘혼례대첩’ 12회는 로운과 조이현은 환상의 케미스트리로 애틋한 러브라인으로 닐슨코리아 기준 전국 시청률 4.3%를 기록, 월화극 1위를 수성했다.
극중 심정우(로운)는 정순덕(조이현)의 넘겨짚기에 걸려 맹하나(정신혜)와 얽힌 꼬마 도령이 세
아이들에 대해 솔직하게 얘기하면 내 아이가 고등학생이라고 해서 길 위에서 만나는 모든 고등학생이 내 아들이거나 내 딸처럼 보이는 것은 아니다. 내 아이 또래의 아이들이 지나가는구나, 지금 이 시간 저 아이는 왜 학교에 있지 않고 저기에 있을까, 살짝 걱정하기도 하지만 그 아이가 내 아이 같은 느낌은 바로 들지 않는다. 그냥 아들 같은 학생으로 보이고, 딸
‘혼례대첩’ 로운이 조이현을 끌어안으며 절절한 마음을 전했다.
29일 방송된 KBS 2TV 월화드라마 ‘혼례대첩’ 9화에서는 심정우(로운 분)가 정순덕(조이현 분)에게 마음을 고백했다.
이날 수일이 지나도록 정순덕을 만나지 못하자 심정우의 몸에는 독특한 변화가 찾아왔다. 입맛을 잃은 심정우는 곡기를 거르기 일쑤였고 맹박사댁 세 자매의 중매 건에도 집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