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2024년 자유무역지역 수출 동향 발표전년 대비 22.5% 늘어…4년 연속 100억 달러 돌파
지난해 자유무역지역(FTZ) 수출액이 149억 달러를 기록, 1970년 마산자유무역지역 지정 이후 역대 최고 수출액 달성에 성공했다. 정부는 올해 역시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 증가와 친환경 자동차 수출 호조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3일(월)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석간)
4일(화)
△기재부 1차관 10:00 국무회의(서울청사)
△2024년 12월 및 연간 온라인쇼핑동향(조간)
△KDI 북한경제리뷰(2025.1)(조간)
5일(수)
△2025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석간)
6일(목)
△기재부 1차관 10:00 경제·금융상황점검TF(비공개)
18~19일 킨텍스에서 1회 행사 열어새로운 글로벌 수출 특구로의 전환을 위한 발판 조성…입주기업의 국내외 판로 개척 지원이틀 간 국내외 바이어 50여 개사와 수출상담회자유무역지역 수출 2% 가량에 그치지만 매년 수출액과 비중 증가세
수출 플러스 전환을 위해 자유무역지역(FTZ)이 마른 수건을 짠단 각오다. 우리 전체 수출의 2%가량에 그치지만 산업통상
관세청이 수출입기업 지원 및 마약류 단속 역량 강화를 위해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관세청은 인천세관을 인천공항세관과 인천세관으로 개편하고 인천공항국제우편세관을 인천공항세관으로 통합하는 내용을 담은 '관세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 개정령안'이 4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11일 공포되고 18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우선 공항ㆍ항만 및 배후단지를 이용하는
지난해 자유무역지역(FTZ)의 수출이 147억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30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자유무역지역 수출이 2021년보다 34.4% 증가했다고 밝혔다. 2021년 처음으로 수출액이 100억 달러를 넘은 후 지난해 또 147억 달러를 달성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자유무역지역은 정부방침에 의해 일반 관세 지역에서 분리된
첨단기업과 유턴기업의 자유무역지역(FTZ) 입주를 위한 수출 비중 기준이 30%로 완화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자유무역지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이 6일 의결돼 13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현재 자유무역지역에 입주하는 기업의 수출 비중 조건은 대기업 50%, 중견 40%, 중소 30% 이상이지만 첨단기
수출입기업에 부과하는 잔자무역인프라기본료가 폐지된다. 또 일자리를 활발히 창출하는 무역기업은 관세청의 관세조사를 1년간 미룰 수 있게 된다.
정부가 11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한 하반기 수출확대 대책에는 그동안 발굴한 수출기업의 ‘손톱 밑 가시’를 제거하기 위한 구체적인 추진계획도 포함됐다.
우선 수출입기업들이 전자무역기반사업자인 KTNET에 수출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