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릭스, 릴리에 MASH 치료제 약 9000억 원에 수출…펩트론과는 기술 평가베링거인겔하임은 인벤티지랩‧지투지바이오와 장기 지속형 주사제 공동개발 한국 기업은 수준 향상, 글로벌 빅파마는 외부 물질 도입 선호… ‘윈윈(win-win)’
K바이오가 글로벌 빅파마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기술수출과 공동개발 등 협업을 넓히고 있다. 기존 성과를 냈던 기업에 몰렸던
전 세계적으로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GLP)-1 계열 비만약에 관한 관심이 뜨겁다. 비만약이 국가 경제를 움직이는가 하면 수년 뒤 글로벌 의약품 매출 1위에 오를 거란 전망도 있다. 이 같은 전망에 여러 기업이 비만약 개발에 뛰어들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디앤디파마텍이 먹는 비만약으로 차별화를 두고 있다.
최근 경기도 성남시 디앤디파마텍 판교 본사에서
국산 30호 신약 ‘케이캡’과 숙취해소제 ‘컨디션’으로 널리 알려진 HK이노엔이 올해 대망의 연간 매출 1조 원 고지를 넘을 전망이다. 그 중심에는 제약영업 한 길을 굳건히 걸어온 곽달원 HK이노엔 대표가 있다.
1986년 삼성그룹 공채 27기로 입사한 곽 대표는 CJ제일제당 제약사업부문이 CJ헬스케어로 독립하고, HK이노엔으로 거듭나기까지 모든 발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항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 양성인 전신 중증근무력증 성인 환자의 치료에 사용하는 희귀의약품 ‘비브가트주(성분명 에프가티지모드알파)’를 허가했다고 20일 밝혔다.
전신 중증근무력증은 신경 근육 접합부 성분을 표적으로 하는 자가항체 병원성 면역글로불린G(IgG)으로 인해 신경근 신호 전달 감소, 전신 근력 약화 증상이 나타나는 자가면역질환
LG화학이 태국 에스테틱 시장에서 사업경쟁력을 강화한다.
LG화학은 PN(Polynucleotide; 폴리뉴클레오티드)성분 스킨부스터 ‘비타란(HP VITARAN, 수출명 HP Cell VITARAN i)’의 태국 판매를 본격화했다고 10일 밝혔다. 미용필러 ‘이브아르(YVOIRE)’에 이어 에스테틱 제품군을 확장한 것으로 두 제품 간 시너지 극대화를
LG화학(LG Chem)은 10일 PN(Polynucleotide; 폴리뉴클레오티드)성분 스킨부스터 ‘비타란(HP VITARAN, 수출명 HP Cell VITARAN i)’ 태국 판매를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태국법인의 직판망을 바탕으로 2021년 태국에 첫 선을 보인 미용필러 ‘이브아르(YVOIRE)’에 이어 에스테틱 제품군을 확장한 것으로 두 제품 간
30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오리엔트바이오와 유니퀘스트 두 종목이다.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오리엔트바이오는 30.00% 오른 1547원에 마감했다. 이날 공조수사본부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체포영장을 청구하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테마주로 꼽히는 오리엔트바이오 주가가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오리엔트정공은 과거 이 대표
30일 오후 2시 49분 기준 셀루메드는 전 거래일보다 29.79%(583원) 가격제한폭까지 오른 2540원으로 거래 중이다. 주사제형 피부이식재 신제품 '셀루덤 젠'을 개발했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셀루메드는 내년 초부터 생산시설 점검 및 시제품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인스코비 그룹 자회사인 바이오 의료기기 전문기업 셀루메드가 주사제형 피부이식재인 무세포동종진피(ADM) 신제품 ‘셀루덤 젠(CELLUDERM GEN)’ 개발을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회사는 본격적인 상업화를 위해 내년 초부터 생산시설 점검과 시제품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셀루메드는 올해 9월 신제품 ‘셀루덤 필(CELLUDERM FILL)’ 개발
펩타이드 융합 바이오 전문기업 나이벡은 보건복지부 산하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지원하는 안전성이 확보된 신규 펩타이드를 활용한 차세대 비만치료제 개발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연구개발은 선택적 항비만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진 펩타이드를 활용해 안전성과 유효성을 동시에 확보한 지속형 피하주사제 형태의 차세대 비만치료제를 개발하는
인벤티지랩(Inventage Lab)은 17일 GLP-1 작용제인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특허를 등록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등록된 인벤티지랩의 특허는 회사 고유의 플랫폼 기술인 IVL-DrugFluidic®을 통한 세마글루타이드 마이크로입자 제형 제조 원천특허다. IVL-DrugFluidic 플랫폼은
인스코비의 자회사인 바이오 의료기기 전문기업 셀루메드가 'PRS KOREA 2024 컨퍼런스(대한성형외과학회)'에 참가해 의료진들에게 피부이식재 '셀루덤 시리즈'를 선보였다고 20일 밝혔다.
대한성형외과학회가 주관하는 PRS KOREA 2024는 성형외과 분야의 국제적인 최신 동향에 대해 국내외 성형외과 의사들이 정보를 교환하는 국내 최대 성형외과
치매 정복은 아직 인류가 이루지 못한 꿈이다. 최근 초기 알츠하이머병에 효능이 있는 치매 신약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잇달아 받으면서 그 가능성이 조금씩 보이지만, 더 뛰어난 효능을 바라는 전 세계 제약·바이오기업들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9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다수의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이 치매 치료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속도는 아
코스닥은 지난 한 주(9월 30일~10월 4일)간 5.51p(0.71%) 내린 768.98에 마감했다. 이 기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88억 원, 1386억 원 순매수했고, 개인은 1327억 원 순매도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 주간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태성으로 한 주간 38.97% 상승한 3만3700원에 마감했다. 젠슨
2일 코스닥 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알파녹스, 퀀텀온, DGP, 셀루메드, 엠아아큐브솔루션, 티사이언티픽 등 6종목이다.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알파녹스, 퀀텀온, DGP는 각각 30%, 30%, 29.98% 오른 2990원, 1300원, 1461원을 기록했다. 호재성 공시나 이슈는 없었다.
셀루메드는 29.95% 올라 3840원에
알테오젠은 항체약물접합체(ADC)의 피하주사제형에 대한 국내 우선권 출원을 진행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발명은 Microtubule Inhibitor같은 독성이 강한 페이로드를 장착한 ADC제품들을 모델로 히알루로니다제를 사용해 ADC 치료제 피하주사를 위한 제형 및 치료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회사에 따르면 현존하는 ADC 치료제는 항체에
인벤티지랩이 독일계 글로벌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의 펩타이드 신약에 대한 장기지속형 주사제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인벤티지랩은 이번 공동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베링거인겔하임의 신약 후보물질을 기반으로 장기지속형 주사제 후보제형을 개발하고, 비임상시험용 시료의 공급을 담당한다. 이후 베링거인겔하임의 내부평가 절차를 거쳐 임상개발에 대한
바이오 의료기기 전문 제조기업 셀루메드가 주사제형 피부이식재인 무세포동종진피(ADM) 신제품 ‘셀루덤 필(CELLUDERM FILL)’ 개발 완료에 이어 ‘셀루덤 젠(CELLUDERM GEN)’ 개발에도 속도를 높인다고 4일 밝혔다. 셀루덤 젠은 이르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 개발이 목표다.
셀루메드에 따르면 셀루덤 필이 개발이 예상보다 빠르게 완료되
셀루메드가 강세다. 주사제형 피부이식재 신제품 개발을 완료했다는 소식이 오름세를 이끈 것으로 보인다.
3일 오전 9시 23분 기준 셀루메드는 전일 대비 29.95%(454원) 오른 1970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셀루메드는 주사제형 피부이식재(ADM) 신제품 ‘CELLUDERM FILL’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는 미세분말화된 제품으로 성형외과, 유
알테오젠은 자사가 개발한 히알루로니다제 ‘ALT-B4’의 물질 특허 미국 등록 결정을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알테오젠은 20일 ALT-B4의 제조방법에 대한 미국 특허 등록 결정 소식을 전한 바 있다. 이번 건은 ALT-B4와 관련한 두 번째 미국 특허 등록 결정이다.
이 특허는 알테오젠의 PH20 변이체인 ALT-B4의 차별성과 개선점을 제시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