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진단 기업들이 빠르게 성장하는 중동·아프리카 시장에서 영향력을 강화한다. 자체 개발 기술력을 기반으로 현지 최대 진단·의료기기 전시회에 출동해 주목받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3일부터 6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리는 ‘메드랩 2025(Medlab Middle East 2025)’에는 전 세계 800여개 기업과 2만 명이 넘는 인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없어도 ‘유전자변형생물체’ 개발·실험 가능해져산ㆍ학ㆍ연 및 병원 공동 감염병 대응 연구와 백신개발 활성화 기대
중소벤처기업부와 질병관리청, 대전광역시는 ‘대전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실증사업을 통해 1월부터 규제가 최종적으로 개선됐다고 밝혔다.
유전자변형생물체 실험을 위한 생물안전 3등급(BL3) 연구시설의 공동 설치와
올해 해양사고와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사고 빈도 높은 고위험선박 700척을 집중 점검하고 선박안전진단은 확대한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은 국민과 함께하는 해양교통안전 실현이라는 비전으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해양사고 예방 대책'을 추진한다고 31일 밝혔다.
공단은 현장 중심의 안전대책으로 해양사고와 인명피해 저감 방안 마련, 국민과 함께하
국내 최고 수준 조영제 전문 기업꾸준한 실적 기반 사업 확대 정조준공모가 1만2600~1만4300원17일 코스닥 상장 예정
토탈 헬스케어 전문 기업으로 자리 잡아 헬스케어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서 의료 산업의 미래를 선도하겠다.
코스닥 상장을 추진 중인 박재원 동국생명과학 대표(CEO)는 24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공개(IPO) 간담회
KMI한국의학연구소는 광화문검진센터를 확장 이전해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21일 KMI한국의학연구소에 다르면 KMI광화문검진센터는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 있는 광화문빌딩(구 동화면세점 빌딩) 지하 1층과 지상 3층, 4층에 새롭게 자리 잡았다. 고객 접근성을 강화하고 기존 광화문검진센터보다 약 300평이 늘어난 총 4208㎡(1500평)의
올해도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 기업공개(IPO)가 활발할 전망이다. 증시 입성 도전이 이어지면서 얼어붙은 바이오업계 투자심리를 녹일 수 있을지 주목된다.
20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신약 개발사는 물론 미용 의료기기, 조영제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1·2월 중 코스닥시장의 문을 두드린다. 지난해 상장 철회를 결정했던 기업의 재도전도 포함돼 있다.
국내 바이오·진단 기업들이 유럽과 미국 등 해외 주요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현지 기업과의 연구개발(R&D) 협약부터 인허가 절차까지 속도를 내면서 일부 기업은 조만간 상업화 성과도 가시화할 것으로 보인다.
1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최근 바이오·진단 기술에 주력하는 기업들이 일제히 해외 사업 성과를 올리고 있다. 코로나19 진단 시장이 위축된
루닛은 멕시코와 중남미 지역 최대 의료기관 체인 살루드 디그나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2003년 설립된 살루드 디그나는 멕시코, 중남미 지역에 의료센터 230곳 이상을 운영하는 대규모 의료기관 체인으로, 연간 2000만 명 이상의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올해 6월에는 GE헬스케어와 협력해 최신 영상진단 장비 400대 이상을 도입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멕시코와 중남미지역 최대 의료기관 체인 '살루드 디그나(Salud Digna)'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살루드 디그나는 멕시코, 중남미지역에 의료센터 230곳 이상을 운영하는 지난 2003년 설립된 대규모 의료기관 체인으로, 연간 2000만명 이상의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디엑스앤브이엑스(DXVX)는 포항공과대학과(POSTECH)과 진행하는 바이오 소재 개발 1차 개발을 완료했다고 22일 밝혔다.
회사는 올해 7월 포항공과대학(POSTECH) 신소재공학과 및 화학공학과와 함께 바이오 진단 산업의 판도를 바꿀 바이오 소재 개발에 관한 독점적 연구 용역을 계약하고 포항공대 연구진(신소재공학과 오승수 교수, 화학공학과 이기라
한국알콘이 안과 업계에 ‘개인 맞춤형 수술’을 선도하겠다는 포부를 제시했다.
한국알콘은 21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개인 맞춤형 시력교정수술 ‘퍼스널아이즈(PersonalEYES)’를 국내에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퍼스널아이즈는 알콘의 진단 장비 사이트맵(Sightmap)으로 각막 두께, 안구 전후방 길이, 수정체 두께 및
20일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팜스코였다.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팜스코는 29.85% 상승한 2675원을 기록했다. 특별한 호재성 공시나 이슈는 없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같은 날 코스닥 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CJ바이오사이언스, 라파스, 셀리드, 아이윈플러스, 얼라인드, 파커스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글로벌 시장에서 체외진단 의료기기 산업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관련 시장도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엔데믹(풍토병화) 이후 시장 성장이 주춤하고 있다.
체외진단 의료기기는 사람이나 동물의 검체를 체외에서 검사하기 위해 단독 또는 조합해 사용되는 시약, 대조·보정물질, 기구·기계장치, 소프트웨어 등을 의미한다.
바이오니아는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된 2024 유럽피부과학회(EADV)에 참가해 탈모 화장품 코스메르나와 탈모 분자 진단 키트를 전시해 관심받으며 행사를 마무리했다고 30일 밝혔다.
올해 33회를 맞는 EADV 연례 학술 대회는 글로벌 제약사와 피부과 전문의들이 참여해 최신 연구 결과, 기술 등을 발표하고, 서로의 지식
30일 비상장 주식 시장은 보합 마감했다.
38커뮤니케이션에 따르면 조영제 사업 기반 진단 장비·의료 인공지능(AI) 전문기업 동국생명과학, 실감미디어 전문업체 닷밀, 소화기 내시경 시술 기구 전문기업 파인메딕스가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했다.
기업공개(IPO) 관련 상장 예비심사 청구 종목으로 이차전지 소재인 양극소재 제조업체 에스엠랩은 전 거
동국생명과학은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받았다고 30일 밝혔다.
지난 2017년 5월 설립된 동국생명과학은 엑스레이(X-ray) 조영제 ‘파미레이(Iopamidol)’와 자기공명영상촬쳥(MRI) 조영제 ‘유니레이(Gd-DOTA)’가 주요 제품이다. 회사에 따르면 두 제품은 최초의 퍼스트제네릭으로 국내뿐만 아
19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 삼부토건, KC코트렐 등 두 종목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파미셀은 전 거래일 대비 29.98% 내린 738원에 거래를 마쳤다. KC코트렐은 29.99% 하락한 488원에 마감했다.
삼부토건과 KC코트렐은 14일 이번 반기 사업보고서에 대한 감사 의견거절을 받았다고 밝힌 바
동국제약은 2024년 상반기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 매출 실적을 달성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상반기 보고서 공시를 통해 공개된 연결재무제표에 따르면 동국제약의 상반기 매출액은 4004억 원, 영업이익 402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대비 매출은 9.2%, 영업이익은 24.9% 증가한 수치다. 2분기만도 매출액
액체생검 분자 진단기업 젠큐릭스는 자회사 나노바이오라이프가 샘플투입 이후 핵산 분리부터 증폭, 분석까지 원스텝, 전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일체형 올인원 real time qPCR (올인원 PCR)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올인원 PCR은 코로나 및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HPV 등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병, 성병, 말라리아, 뎅기열 등을 1~2시간
바이오니아는 7월 30일부터 8월 1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규모 진단검사 분야 학술 대회 및 박람회 ‘ADLM 2024(Association for Diagnostics & Laboratory Medicine)’에 참가해 차세대 진단 장비의 기술력과 우수성을 홍보했다고 2일 밝혔다.
ADLM은 전 세계 임상 전문의와 업계 관계자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