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레이 자동검사 장비 기업 자비스가 유리기판 공정 검사장비를 상반기에 납품한다. 유리관통전극(TGV) 공정 기업들의 샘플 확인 방문이 이어지면서 회사 측은 검사 기술이 검증된 수준으로 올라왔다고 자신하고 있다.
12일 자비스 관계자는 "TGV 검사하는 기업들의 샘플 확인 방문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며 "기술이 어느 정도 검증된 수준이라고 판단한다"
◇일진하이솔루스
수소전기차 모델 NEXO 2 출시! 수소연료탱크 공급 기대
주요 사업은 수소사업(수소연료탱크)과 환경사업 영위
현대차 수소전기차 NEXO 2, 2025년 2분기 출시 예정
국내 최고 수준의 수소 튜브 트레일러 사업도 주목
이재모 그로쓰리서치
◇피앤에스미캐닉스
기술력 높은 재활로봇 전문기업
‘Walkbot(워크봇)’ 이라는 재활로봇을 전
2023년 대비 매출 15%, 영업익 11% 증가AI·서버·전장 등 고부가 제품 공급 확대“고객사들, AI 기판 신제품 개발 참여 중”
삼성전기가 인공지능(AI) 수요 강세에 힘입어 지난해 사상 이래 매출 10조 원을 처음 돌파했다. 현재 주요 기업들과 AI 가속기용 기판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어 향후 올해 매출은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기는
2023년 대비 매출 15%, 영업익 11% 증가AI·서버·전장 등 고부가 제품 공급 확대
삼성전기가 인공지능(AI) 수요 강세에 힘입어 지난해 사상 이래 매출 10조 원을 처음 돌파했다.
삼성전기는 24일 지난해 및 4분기 잠정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0조2941억 원, 영업이익 735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
한국투자증권은 17일 심텍에 대해 2024년 영업이익은 적자를 기록하겠지만, 2025년에는 하반기에 실적 개선세가 본격화하고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투자 의견을 '중립'으로 유지했다.
심텍은 반도체용 인쇄 회로 기판(PCB) 개발 및 양산에 선택과 집중해 온 기업으로, 축적된 제조 경쟁력을 바탕으로 최첨단 PCB 제품을 글로벌 주요 반도체 기업
소형 전고체전지 올해 시제품 공급실리콘 캐패시터 올해 양산 돌입유리기판 파일럿 라인 구축 27년 양산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이 “전자산업은 모바일 중심의 ‘IT 플랫폼 1.0”을 지나 모빌리티 디바이스가 주도하는 ‘IT 플랫폼 2.0’시대가 열렸다”며 성장기회를 놓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장 사장은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제품 개발‧기술 우수인재 발탁”김태영 상무 등 여성 임원 배출
삼성전기가 2일 부사장 2명, 상무 7명, 마스터 1명이 총 10명 규모의 정기 임원 인사를 발표했다.
삼성전기는 “글로벌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차별화된 1등 제품‧기술력 확보를 위해 적층형 콘덴서(MLCC), 패키지기판, 카메라모듈 등 주요 제품의 개발‧기술 우수인재를 발탁하
◇SK가스
눈 앞에 와있는 분기점
울산GPS 상업 운전, 어느새 다음 달
아쉬운 지분법 손익. 발전 사업 확대 통해 중장기적으로 개선
우리나라에 천연가스 가격 상승 수혜주가 있다면
문경원 메리츠증권 연구원
◇디앤디파마텍
경구화 플랫폼의 가치를 증명할 2025년
ORALINK: 100% 흡수율의 비오틴에서 도출된 경구화 플랫폼
MASH 약물의 경쟁력은 G
장덕현 사장 전시회 참가기술 동향‧미래 계획 공유AI‧서버용 MLCC‧FCBGA전장용 MLCC‧카메라모듈 소개
삼성전기가 세계 최대 전자 부품 전시회인 '일렉트로니카 2024'에 참가해 차세대 전자부품 기술력을 공개한다고 12일 밝혔다.
일렉트로니카는 3000개 이상 글로벌 전자부품 기업이 참가하고, 8만 명 이상 방문하는 전시회로 독일 뮌헨에서 1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이 "앞으로의 10년은 전기차(EV)·자율주행 및 서버·네트워크 시장이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장 사장은 30일 포항공과대학교에서 진행된 특강에서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는 기술, 그중에서도 핵심 기술 확보 여부가 기업 생존의 핵심"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삼성전기가 단계적으로 미래 성장 시장으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IT 판매 부진에 삼성전기-LG이노텍 다른 분위기삼성전기, AI 관련 MLCC‧FC-BGA로 실적 개선LG이노텍, FC-BGA 4분기 수익 예상
국내 양대 전자부품 공급업체인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이 올해 3분기 다소 엇갈린 성적표를 받았다. 정보통신(IT) 시장 불황과 전방산업 제품 수요 부진으로 두 회사 모두 어려운 시기를 지나고 있지만, 인공지능(
3분기 영업익 2249억…전년비 20%↑AIㆍ서버 고부가 MLCC 공급 증가실리콘캐패시터 등 '신사업' 지속 추진
삼성전기가 인공지능(AI)·전장·서버 등 시장에서 고부가 제품 중심의 공급 확대로 3분기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다만 모바일, PC 등 정보기술(IT) 전방 산업 제품에 관한 수요가 주춤하면서 시장 기대치에는 밑돌았다. 삼성전기는 4분기
영업익 전년 대비 20% ↑AI·전장·서버 등 고부가 증가4분기 계절성 따른 수요 둔화
삼성전기가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조6153억 원, 영업이익 2249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매출액은 11%, 영업이익은 20% 증가했다. 전 분기 대비로는 각각 2%, 6% 늘었다.
삼성전기는 인공지능(AI), 전장, 서
AI 시장 도래했음에도 IT 수요 부진 이어져4분기에 내년 상반기까지 IT 침체기 전망“단기적으로 침체했지만 장기적으론 경쟁력”
반도체에 전기를 통하게 하는 부품 ‘적층세라믹콘덴서(MLCC)’를 제조하는 삼성전기는 인공지능(AI) 시대의 수혜 기업으로 꼽힌다. 그럼에도 정보기술(IT) 디바이스 수요 침체 탓에 당분간 큰 호황은 누리지 못할 것이라는 예
30여 개 고객사 100여 명 참석기술 세미나…파트너십 강화
삼성전기가 26일 중국 텐진에서 '2024 삼성 오토모티브-컴포넌트 테크데이(SAT)'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SAT는 전장 고객사를 대상으로 기술 세미나, 생산 현장 공개 등을 실시하는 행사다. 해외 주요 자동차, 전장 기업 30여 개 사에서 100여 명이 참석했다.
삼성전기는 적층세라믹
애플이 자사의 최초 인공지능(AI) 스마트폰 ‘아이폰16’ 시리즈를 출시했다. AI 기술을 접목한 만큼 그 어느 때보다 시장 수요가 거셀 전망이다. 이에 애플에 카메라 모듈, 디스플레이 등을 납품하는 국내 부품사들에도 하반기 실적 향상의 수혜가 기대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이번 아이폰16 시리즈 출하 목표량을 최소 9000만 대로 잡은 것으
유안타증권은 5일 LG이노텍에 대해 2025년 신제품 출시 모멘텀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목표주가는 32만 원, 투자의견은 매수로 신규 제시했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동사는 북미 주요 고객사의 핵심 카메라 공급 기업으로, 동사의 광학 솔루션(카메라 등) 부문은 계절적 성수기에 진입했으며 신제품 출시 효과까지 더해져 하반기 실적 성장을 견인할
"유리기판, 내년 시제품ㆍ내후년 양산 계획""고성능 시장 선제 적용…고객사 기술 요구 ↑"
양우석 삼성전기 그룹장이 “(유리기판은)현재 여러 고객사에서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요구가 굉장히 강하다”며 “내년에는 시제품을, 내후년 이후부터는 양산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 그룹장은 4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국제PCB 및 반도체패키징산
성능 높인 'FCBGA' 공개삼성·LG, '유리기판' 첫선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이 ‘국제PCB 및 반도체패키징산업전(KPCA Show)’에서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선보인다고 4일 밝혔다.
KPCA Show는 국내외 기판, 소재, 설비 업체 240여 곳이 참가하는 국내 최대 기판 전시회다. 이날부터 6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다.
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