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패션연구소 “패션 시장·의류 소비심리 지속 하락”패션업계, 해외 사업 강화·사업 다각화·포트폴리오 재편 등으로 돌파구
불황으로 실적 부진에 빠진 패션업계는 2025년 새해에도 고민이 깊다. 고물가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인해 대다수 소비자들이 의류 소비를 가장 먼저 줄이는 데다, 오락가락하는 이상기후까지 겹치면서 내수 시장에서 쉽사리 매출 전망을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코오롱FnC)은 올해 3분기 매출이 230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7% 감소했다고 7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149억 원을 기록해 전년(99억 원) 동기보다 적자 폭이 커졌다.
코오롱FnC 관계자는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 심리 저하와 폭염 등으로 인한 계절적 요인으로 매출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한편 코
침체된 소비심리에 직격탄을 맞은 패션업계. 그럼에도 일부 주요 패션 대기업은 위기 속 신진 브랜드 육성과 상생을 통해 미래 준비에 힘쓰고 있다. 반면 재계 1위 삼성그룹 계열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이미 검증된 해외 신명품 브랜드 모시기에만 혈안이 돼 대조적이다.
25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패션 대기업은 올 2분기 전반적으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코오롱FnC)이 미래 먹거리 브랜드 발굴에 나선다. 신규 라이선스 계약 및 투자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 외연 확장에 나서겠다는 전략이다.
코오롱FnC는 글로벌 아웃도어 브랜드 ‘헬리녹스’의 어패럴 비즈니스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헬리녹스는 2009년 동아 알루미늄(DAC)의 브랜드로 론칭, 캠핑의자
지금 화제 되는 패션·뷰티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취향, 가치관과 유사하거나 인기 있는 인물 혹은 콘텐츠를 따라 제품을 사는 '디토(Ditto) 소비'가 자리 잡은 오늘, 잘파세대(Z세대와 알파세대의 합성어)의 눈길이 쏠린 곳은 어디일까요?
최근 도심 속을 달리는 러닝(달리기) 열풍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폭염이 일상과 같았던 한여름에도 햇볕을 피
백화점과 대형마트, 이커머스 등 유통업계가 연말 쇼핑 대목의 분위기를 새해로 이어가기 위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잇따라 전개하고 있다.
우선 롯데백화점이 1월 2일부터 15일까지 2023년 첫 정기 세일을 진행한다. 신년 세일에서는 ‘시즌 오프’를 테마로 패션 상품군 할인 등 가격 할인에 중점을 뒀다. 남성, 여성 패션, 잡화, 스포츠, 키즈 부문 등 전